논문 상세보기

Reason's Model을 응용한 불안전한 행동(사람)에 대한 사고원인 예방 모델 (ACPM) 추출 -반도체 산업 중심으로-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877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대한안전경영과학회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초록

건설업계는 제조업과 특성이 달라 여러 가지 문제점이 엿보인다. 특히, 건설업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연구 및 지원은 별로 찾아볼 수가 없다. 근골격계 질환의 제조업과 건설업의 비율을 보았을 때 "2004 산업재해분석" 요양자 업종별 분포를 보면 제조업이 3,281명(79.79%)로 건설업의 63명(1.53%)보다 월등히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미국의 사례를 보았을 때, 2007년 업종별 분포를 보면 건설업이 42,867명(26.20%), 제조업이 101,437명(36.23%)로 우리나라에 비해 건설업 근골격계 질환자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건설업에서의 근골격계 부담 작업 실태조사 등을 통하면 제도적 문제점이나, 근로자가 몰라서 질병에 이환되는 경우가 아닌가 한다. 건설업 근로자들은 건설업 특성상 근골격계 질환예방을 위한 도구를 거의 사용하지 못하고, 작업의 연속성, 지속성이 떨어지므로 부자연스럽고, 불편한 자세를 작업을 위해 수시로 반복하여 취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건설업체에 중대재해를 줄이기 위한 노력 뿐 만 아니라, 열악한 건설업체의 근로자의 근골격계 질환 예방에 대한 제도적인 지원과 안전담당자 교육, 근로자에 대한 근골격계 질환 예방교육(스트레칭, 작업 자세, 동작, 근력강화, 적절한 휴식시간 부여) 등 대책이 절실히 필요하고 하겠다.

목차
요약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2. 근골격계질환 실태조사
  2.1 근골격계질환의 제조업 및 건설업 비교
 3. 건설업에서 근골격계 부담작업 실태
 4. 토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권영국
  • 오영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