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GROWTH Classroom Model and Common Approaches to Teaching English Writing Skills: Looking at Writing Developments in Korean Secondary School Classroom
이 연구는 국가 수준 영어 교육과정에서 지도하도록 의도하고 있는 어휘, 문법, 의사소통기능, 내용 요소 등을 아우르고 있는 중학교 영어 교과서의 본문에 대해 질문 중심 하브루타 형식의 토론을 통해 학생들의 이해 수준을 심화하고, 본문의 내용을 확장한 주제로 과정 중심의 영어 작문을 지도했을 때, 영어 쓰기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자아효능감에 구체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질문 중심의 하브루타와 과정 중심 쓰기 지도 방법에 이론적 토대를 두고 3단계로 설계된 GROWTH라는 수업 모형을 고안했고, 2017년 3월부터 11월까지, 서울 서부에 소재한 중학교 3학년 두 학급의 학생 54명을 대상으로 수업시간 중 해당 수업모형을 적용했다. 수업모형 적용 전후, 설문을 실시한 결과, 해당 수업 모형은 짝‧모둠 중심의 토의·토론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영어 쓰기에 대한 학생들의 자아효능감을 향상시켰으며, 학생들로 하여금 영어 쓰기를 시도하고 연습하는 것의 중요성을 일깨웠음이 드러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중학교 수업 현장에서 과정 중심 수행평가의 일환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영어 쓰기를 지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effects of a learning model on the perception and self-efficiency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towards English writing. The learning model, entitled as “GROWTH”, was designed, theoretically based on “Question-centered Havruta” and “Process-centered Writing Approach”. It combined three stages: (1) After reading activities: partner and group-based discussion on the texts which include words, grammatical structures, communicative functions, and topics carefully selected in terms of national curriculum (2) Pre-writing activities: brainstorming and discussion before writing essays or letters of which the topics are extended from the texts (3) Process-centered writing activities including first drafts, feedback from a teacher or colleagues, and final drafts. From March to November of 2017, the learning model was applied to the 54 third graders of a middle school located in the north-western part of Seoul.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learning model, pre- and post-test was done on the same group of the students. The results show the “GROWTH” learning model imposed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perception on the partner and group-based discussion or activities and improved their self-efficiency towards English writing. Also, it gave the students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attempts at English writing and continuous practice. Therefore, this research implies the need for the English writing activities to be more actively attempted in the English learning environments of Korea as a part of process-centered assess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