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백두산 심부 마그마 탐사를 위한 분산계측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비저항탐사 설계 KCI 등재

DC Resistivity Survey Design for Deep Magma in Mt. Baekdu Using Distributed Acquisition Syste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039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백두산에서는 밀레니엄 대분화 이후로도 수차례의 화산활동이 계속되어 마그마 거동 감시 연구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마그마방의 깊이 및 규모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지구물리학적 접근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전기비저항 탐사의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국경으로 인해 공간적 제한이 있는 백두산에서 심부에 위치한 마그마를 탐사하기 위해서는 측선의 길이가 수십 킬로미터 이상이 되는 대규모 전기탐사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 서는 분산계측 시스템의 도입과 이에 최적화된 탐사 설계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자체 개발된 분산계측 시스템을 활용하는 탐사설계안을 제시하고 전산실험을 통해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단일 측선과 비동일선상 송신원 배열을 사용한 탐사설계안을 이용하여 다수의 측선 설치가 필요한 일반적인 3차원 탐사에 준하는 역산 해석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 탐사설계안이 백두산 심부 물리탐사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everal volcanic activities have continued in Mt. Baekdu since the Millennium eruption, and these phenomena have increased the need for volcanic activity surveillance. Various geophysical approaches are needed to obtain the depth and size of magma chamber that lie several kilometers below the surface. We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direct-current resistivity survey in this study. In order to explore the deep magma chamber of Mt. Baekdu, which has a spatial limitation due to the borderline, a large-scale survey with a length of tens of kilometers should be conducted. This type of survey requires a distributed measurement system and optimized exploration designs. Therefore, we propose survey designs taking advantage of our developed distributed acquisition system and analyze the applicability using numerical simulation. We confirmed that our designs that use single survey line with offline transmitting points show comparable results to the conventional 3D survey. It is expected that our research result can contribute to the deep geophysical exploration in Mt. Baekdu.

목차
Abstract
 요 약
 서 론
 연구지역 개요
  연구 현황
  백두산 지역에서의 전기비저항탐사 특징
 분산계측 시스템을 이용한 탐사 설계
 전산 실험을 통한 타당성 검증
 결 론
 References
저자
  • 이효선(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자원연구본부) | Hyosun Lee (Mineral Resource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정현기(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자원연구본부/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물리탐사공학과) | Hyun-Key Jung (Mineral Resource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Department of Geophysical Exploratio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조성호(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자원연구본부) | Sung-Ho Cho (Mineral Resource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Corresponding author
  • 김예솔(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자원연구본부/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물리탐사공학과) | Yesol Kim (Mineral Resource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Department of Geophysical Exploratio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이윤수(포항공과대학교 환경공학부) | Youn Soo Lee (Division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민동주(서울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Dong-Joo Min (Department of Energy Resources Enginee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