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선초 향교교관 정책에 관한 검토 KCI 등재

A Study of the Hyanggyo Policies for Teachers in the early Chosun Dynas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041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본 연구는 조선초 향교교관 정책의 난맥상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조선 건국초에 주자학으로 무장된 신흥 사대부들은 이상적 유교사회를 건설하려는 목표를 갖고 있었으며, 이를 위해서는 중국의 삼대(三代)처럼 학교를 완비해야 한다는 판단에 따라 향교를 급속하게 확대 설립해 나갔다. 그러나 향교교관으로 임명할 인적 자원의 확보나 교관에게 지급할 재정의 확보 등의 대책은 너무나 부실했으며, 여기에다 교관을 경시하는 풍조와 외관직을 기피하는 경향 등 향교교관 정책을 펼치는 데 당시의 조건들은 녹록지가 않았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당시 향교교 관직은 교직, 외관직, 무급직이라는 약점 외에도 천전(遷轉)이나 승직(陞職)이 힘들었던 그야말로 최악의 조건을 지닌 자리였던 것이다. 이렇게 기피직이었던 향교교관을 확보하기 위해 국가에서는 흠결이 있는 문신(文臣)을 교수로 파견하거나, 피역(避役)이 목적이었던 유학(幼學)들로 하여금 훈도(訓導)·교도(敎導)·학장을 삼는 경우가 많았다. 그렇다 보니 이들은 대체로 교육에 대한 의욕이나 능력이 부족하여 실질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였다. 이 때문에 학생들은 교관들에 대해 신뢰를 하지 못하는 풍조가 만연되어 향교를 기피하려 하였다. 이처럼 조선초에 향교의 증설은 시대적 당 위로서 어쩔 수 없었으나, 이것은 교관 확보가 가능한지에 대한 고민이 결여된 채 이루어진 무모한 정책이었다. 결국 이로 인하여 조선초부터 향교교육이 지속적으로 부진을 면치 못하다가 조선 중기에 이르러 거의 폐절되는 상황에 이르게 되었던 것이다.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problems of the Hyanggyo (local school) teacher policies in the early Chosun Dynasty. In the beginning, Chosun’s politicians who believed in Confucianism decided that they should construct schools based upon the ancient ideals in Chinese society and rapidly expanded Hyanggyo. However, the individuals to be appointed as Hyanggyo teachers and the financial resources to be paid to these teachers were very poor, and the other conditions at that time were insufficient to implement the Hyanggyo teacher policy, with the tendency being to ignore teachers and the tendency to avoid local officers. Appointed teachers were avoided by the people, as the government often sent teachers with defective management abilities such as Gyosoo (敎授), or teachers such as Hundo (訓導), Kyodo (敎導), and Hakjang (學長) as these individuals would have been exempt from military service. However, they were generally not able to play a pivotal role, because they lacked motivation in education or the ability to cope with a teacher’s work. As a result of this, students avoided the Hyanggyo because of the widespread trend of not trusting the teachers. While this was a period in the early Chosun Dynasty where the demand to build many Hyanggyo was high and it lead to a reckless policy that lacked concern about whether it was possible to secure proper teachers. As a result, Hyanggyo education was sluggish from the beginning of the Chosun Dynasty, and eventually it lost its function in the middle of the Chosun Dynasty.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조선초 향교의 확대 설립 및 교관 확보를 위한 노력
 Ⅲ. 조선초 향교교관의 실태
  1. 조선초 향교교관의 배치 실태
  2. 조선초 향교교관에 대한 인식 실태
 Ⅳ. 조선초 교관 부실화의 원인 검토
  1. 국가 교관정책상의 문제
  2. 교관 자체의 자질 저하 문제
  3. 과도한 조선의 향교 확대 설립 문제
 Ⅴ.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이원재(연세대학교) | Lee Won-Jae (Yonsei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