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의 총설 KCI 등재

Review on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042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으로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효율과 장기 안정성은 전극 물질과 전해질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데 본 총설에서는 전해질에 초점을 두어 서술하고자 한다. 고분자 전해질막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서 기존의 액체 전해질을 대체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시되어 왔다. 기존의 액체 전해질은 높 은 효율을 나타낼 수 있지만 장기적인 안정성 문제와 누액 문제로 인해 고분자 전해질막에 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매년 이와 관련된 논문들이 활발히 보고되고 있다. 본 총설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위한 고분자 전해질막의 개념과 개발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다루고 있으며 고분자 매트릭스의 개질, 유-무기 가소제 및 이온성 액체와 같은 첨가제의 도입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효율과 전기화학적 특성에 대해서도 최근의 연구들이 정리되어 있다.

Dye-sensitized solar cells (DSSCs) have attracted great attention as sustainable energy devices. The efficiency and long-term stability of DSSCs are greatly influenced by electrode materials and electrolytes. In this review, we focused on the electrolytes of DSSCs.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have been proposed as an alternative to conventional liquid electrolytes in DSSCs. Conventional liquid electrolytes can exhibit a high efficiency, but due to some problems such as poor long-term stability of device and leakage of liquid, much interest in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continues to rise and the papers on polymer electrolytes membranes have been extensively reported recently. This review covers the concept and development of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for DSSCs, and discusses the efficiency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DSSCs, highlighting the modification of polymer matrix, the introduction of additives such as organic-inorganic plasticizers and ionic liquids.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구조
 3. 작동원리
 4. 고분자 전해질
  4.1. 광중합 고분자 전해질막
  4.2. 젤 고분자 전해질막
  4.3. 이온성 액체 고분자 전해질막
 5. 결 론
 Reference
저자
  • 이재훈(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 Jae Hun Lee (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molecular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박철훈(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 Cheol Hun Park (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molecular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이창수(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 Chang Soo Lee (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molecular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김종학(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 Jong Hak Kim (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molecular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