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복합운동이 노인여성의 낙상관련지표 및 Myokine에 미치는 효과 KCI 등재

Effect of Combined Exercise on Fall Injury Index and Myokine in Older Adul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074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복합운동이 노인여성의 낙상관련 지표 및 마이오카인에 미치는 효과를 보는데 있다. 근감소증은 근력의 손실로 인해 발생하고, 기능적 상태의 감소, 활동력의 저하에 따른 낙상의 위험성이 높아지고 끝내 사망의 위험성이 높아지게 된다. 유산소운동은 대근을 이용한 리듬과 반복적인 동작 으로 특징 지워지고 주로 유산소성 대사를 통한 산소를 에너지 이용으로 심폐체력, 체성분 및 심장과 호흡계 건강에 기여한다. 한편 저항운동은 근육에 스트레스를 가해 노인들의 근력관련 체력과 기능적 수행 개선에 기여한다. 근기능 및 심폐지구력 향상을 꾀하는 복합운동은 노년들의 효과적인 건강증진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근육에서 분비되는 마이오카인은 운동에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되고 있는데 지방세포 감소, 골격, 근육 및 인체 전반에 걸쳐 유익한 효과를 보인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bine exercise on the fall injury related index and myokine in elderly women. Sarcopenia leads to a loss of strength, alter on to a decreased functional status, impaired mobility, a higher risk of falls, and eventually an increased risk of mortality. Aerobic exercise characterized by rhythmic and repetitive movements of large muscles, for sustained periods that depends primarily on the use of oxygen to meet energy demands through aerobic metabolism, and that is structured and intended to generate improvements in cardiopulmonary fitness, body composition, and cardiorespiratory health. Resistance training has performance in the elderly. As combined exercise therapy can be used to enhance muscle functions and cardiopulmonary functions, it is being highlighted as an effective health management methods for the aged. The myokine has been regarded an important factor of exercise how muscle communicate adipose tissue, bone and muscle to exert beneficial effects at the whole body level.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근감소증과 낙상지표
  2.1. 근감소증과 낙상
  2.2. 근감소증과 마이오스타틴(myostatin)
 3. 낙상에 미치는 운동의 효과
  3.1. 유산소 운동과 낙상
  3.2. 저항운동과 낙상
  3.3. 복합 운동과 낙상
 4. 운동과 마이오스타틴(myostatin)
 5. 결 론
 References
저자
  • 박우영(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 Woo-Young Park (Department of Sport Medicin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