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estor Worship and Its Mutual Relationship with Buddhism
조상에 대한 제사는 중국문명의 신앙적 측면에서 가장 현저하게 발견 되는 특징으로, 영국의 제임스 레게(James Legge, 1852)에서 미국의 슈왈츠(Benjamin I. Schwartz, 1985)에 이르기까지 세계적으로 공통된 인식으로 형성되었다. 불교와 기독교(천주교)는 시간 격차를 두고 중국에 유입되는 과정에서 제사 제도와 격렬한 충돌이 일어났었는데, 불교 는 중국을 ‘정복’하는 과정에서 제사 제도와 상호 침투, 흡수에서 나아가 혼합, 융합의 단계로 나아가게 된 반면, 기독교에서는 제사를 종교 전파의 최대 장애물로 간주하여 ‘미신’이라는 딱지를 붙여 거부하고 배척하였다. 불교와 기독교가 제사라는 분수령에서 상반된 길을 가게 된 이유를 찾기 위해 우리는 우선 고대 제례의 원류에 해당되는 기록인 의례(儀禮) <특성궤식례(特性饋食禮)>에서부터 분석을 시작하고자 한다. 해당 경전에서 4단 20절로 구성 되어있는 의례 과정에 대한 세밀한 정리 분석을 통해 제주(祭主)가 자신보다 아래 항렬의 가족 중 한 명을 골라 조상신을 대신하는 ‘시’로 세우는 것은 전 과정을 관통하는 중요한 구성단위임을 알 수 있다. ‘시’와 제주의 현실 신분 속 ‘존비(尊卑)의 도치’, ‘아버지가 아들에게 절을 올리는’ 의례 과정의 설계 목적은 종친 중 가장 존엄한 위치에 있는 제주가 이로 인해 가질 수 있는 자만 심과 오만함을 억제하는 데에 있으며, 제주를 위시한 종친과 내빈이 모두 ‘시’에 대해 예로서 경의를 표함으로서, 성실과 공경을 전체 예의(禮 義)의 핵심으로 삼았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나아가 고대의 제사 의례는 재계(齋戒), 향신(饗神), 교접(交接), 혈식(血食), 합족(合族)이라는 다섯 단계로 형성되었으며, 의례의 핵심인물인 주인은 ‘시’와 빈객들과 같이 기일 3일 전부터 재계(齋戒)에 들어가며 안에서 밖으로 보여주는 모든 언행과 행동, 바치는 제품(祭品)과 상호 간의 교접(交接) 등 전체 과정을 모든 참배객에게 보여주게 되니, 그 과정을 지켜보는 단계에서 본 받는 단계로 나아가게 되며, 정성을 다하여 공경하는(誠敬) 예는 외연적으로 확장되어 제례 현장에 있는 모든 종친들에게 영향을 점차 주게 되는 것이다. 진한시대 이후, 시를 세우는 의례가 점차 폐지됨에 따라 제례의 형식도 본래 조상에 대한 제사 중심에서 황제의 하늘에 대한 제사로 그 핵심이 옮겨가게 되었다. 동시에 조상 제사의례의 구조는 다소 느슨해지기 시작하여 불교 등 요소가 대량 침투하게 되었으며, 특히 민간사회에서 신주(神主), 분향(焚香), 소식(素食), 재회(齋會), 소지(燒紙) 등과 같은 새로운 의절(儀節)이 생겨나게 되었다. 의절의 변화는 조상 제례의 핵심이 초기의 성경(誠敬)에서 기복신앙, 즉 인과응보 관념으로 옮겨졌다는 것을 반영한다. 송원시대 이후 유불도 삼교의 상호 침투와 영향이 점차 깊어지고, 명청시대 이래의 민간신앙은 삼교가 상호 교차 하고 혼합되어 서로 구분할 수 없는 단계에 이르렀으니 이것이 바로 역 사에서 말하는 ‘삼교합일(三敎合一)’이자 양경곤(楊慶堃)이 칭한 ‘확산형 종교(彌散性宗教)’ 현상인 것이다. 유생과 승려들은 이와 같은 종교의 뒤섞임, 세속화, 공리화 등 경향에 대해 격렬한 비판을 가한 바 있는데, 그것이 ‘진위를 가려내지 못하기(眞僞不辨)’ 때문에 ‘개돼지만도 못하게 전락하였다(落狗彘之下)’(지욱智旭 스님의 말)라고도 하였다. 사실 이러한 주장은 여전히 성경을 예의의 핵심으로 보는 입장에서 내세운 평가로서, 민간제사의 핵심예의는 ‘보(報)’라는 것을 이해하지 못한 데서 나오는 견해이다. 민간불교는 그 숫자가 지극히 방대한 기층 백성들의 지 지를 얻었기 때문에 유교, 도교에 비해 더욱 광범위한 사회적 기반을 다지게 되었다. 불교는 이로 인해 방대한 ‘기층의 힘(基層的活力)’(이천 강李天綱의 말)을 획득하게 되어 뿌리내릴 곳 없는 ‘떠돌이 영혼’이 되어버린 유교와는 달리 수백 년간 파란만장한 부침을 겪고 나서도 현재 까지 전승될 수 있었던 것이다.
祭拜祖先, 是中國文明在信仰層面最突出的顯性特徵, 從英國的理雅各(James Legge, 1852)到美國的史华兹(Benjamin I. Schwartz, 1985)已形成全球的共識. 佛教與基督教(天主教)在先後傳入中國的過程中均與之發生劇烈碰撞, 佛教在“征服” 中國的道路上逐漸與祭祖互相滲透ㆍ吸收, 甚至雜糅ㆍ混融, 基督教則將祭祖視作傳 教的最大障礙, 給其貼上“迷信”的標籤而拒斥之. 爲什麼佛教與基督教會在祭祖這座 分水嶺前分道揚鑣, 我們首先需要從記載古典祭祖禮的源頭文本儀禮·特牲饋食禮 開始分析. 經對此篇四段二十節的禮儀流程作細化梳理可知, 立尸是貫穿儀節前後的 中心環節, 將主祭者下一輩中的一人上提爲“尸”, 以代先祖之神. “尸”與主祭者現實 世界中身份的“尊卑倒置”ㆍ“以父拜子”的儀節設計, 透露出禮儀的宗旨是抑制主祭 者作爲宗族最尊者可能滋生出來的自傲ㆍ驕慢之情, 通過以主人爲首的宗人和來賓 均禮敬“尸”, 從而確立了以誠敬作爲全部禮義的內核. 由此推擴出去, 古典祭祖禮在 儀節的鋪展中構成了齋戒ㆍ饗神ㆍ交接ㆍ血食ㆍ合族五層禮義, 禮儀的中心人物主 人與“尸”, 與賓, 自祭日前三天即進入齋戒, 由內而外每一步言行舉止, 從祭品的供 奉到彼此的交接, 均呈現在每一位與禮者面前, 因觀摩而被效仿, 誠敬的禮義往外輻 射, 漸次濡染到行禮現場的每一位宗人. 秦漢以後, 隨着立尸之儀逐漸廢棄, 祭禮系 統原以祭祖爲軸心, 逐漸讓位給以皇帝祭天爲軸心. 同時, 祭祖禮的禮儀結構開始鬆 散, 佛教等因素大量滲入, 尤其是在民間社會, 出現了神主ㆍ焚香ㆍ素食ㆍ齋會ㆍ燒 紙等新興儀節. 儀節的新變, 透射出祭祖禮的禮義內核已由早期的誠敬, 逐漸過渡到 了求報, 即因果報應觀. 宋元之後, 三教互滲越來越深入, 明清以來的民間信仰更使 三教交織與混溶, 彼此不可分, 歷史上稱爲“三教合一”, 楊慶堃稱爲“彌散性宗教”. 儒生與僧侶對宗教的雜糅與世俗化ㆍ功利化等傾向曾展開激烈批評, 因其“真僞不 辨”, 斥之爲“落狗彘之下”(智旭和尚語). 其實, 這是仍然站在主張誠敬爲禮義內核的 立場上給出的評論, 而不明民間祭祀的禮義核心乃是“報”的觀念. 正是民間佛教獲得 了數量極其龐大的基礎民眾的支撐, 才獲得了較儒家ㆍ道教更爲廣闊的社會根基. 佛 教因獲得了磅礴的“基層的活力”(李天綱語), 使其在數百年的波折動盪中得以綿延傳 承至今, 不像儒家般早已成爲無處著落的“遊魂”.
Ancestor worship is the feature most commonly found in a religious aspect of Chinese civilization. Buddhism and Christianism (Catholicism) each had separately been introduced into China, both of which collided fiercely with the institutionalized ancestor worship. While Buddhism had experienced –during its ‘conquer’ of China- mutual permeation and absorption, even mixing and synthesis with the native culture of ancestor worship, Christianism, in contrast, had rejected and ostracized the culture as a mere ‘superstition’. To search for the reason why Buddhism and Christianism headed opposite direction at the crossroad of their dealing with ancestor worship, we take <Texingkuishili(特性饋食 禮)> in Ritual(Yili, 儀禮) as our starting point of analysis. From the analysis of details of ritual proceeding indicated by the cannon, we found out that the chief of ceremony(master of the offering)(祭 主) chose one who is a generation younger than him –often one of his sons- as ‘Shi(corpse)’, a representative of the souls of ancestors. It seems the purpose of this ritual proceeding is to suppress any pride or self-importance the master –who is the most powerful figure among the kindred-, might have. The guests’ showing veneration for the ‘Shi(corpse)’ testifies to the fact that faithfulness and respect had been at the core of the entire YiYi(禮 義). After Qin and Han Dynasties, the tradition of having Shi in the ritual had withered. The formality of offerings also changed, its core shifting from a clan’s showing of ancestral reverence to the Emperor’s offering to Heaven. The ritual proceedings gradually became less strict with its details, which resulted in other religious elements, majorly Buddhist, permeating into the practice. Especially in the realm of folk religion, this introduced new elements of ritual, such as shrines and incense. Folk Buddhism, thanks to its popularity among the commoners, enjoyed the wider societal support from the people than Confucianism and Taoism. This enormous ‘Power from the Base (基層的活力)’ offered Buddhism a strength to survive until today through the turbulent of History, while its competitor Confucianism had been lifted up from its roots and still remains a ‘wondering so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