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사회적 긍정정서와 친화성이 조망수용과 긍정적 대처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s of social positive affect and agreeableness on perspective taking and positive cop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362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는 긍정정서를 사회성 축에 따라 사회적 긍정정서와 비사회적 긍정정서로 나눌시 조망수용능력과 긍정적 대처간의 관계가 다르게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그 관계가 성격변인인 친화성에 따라 조절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험 1과 2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 긍정정서를 느낀 집단은 비사회적 긍정정서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조망수용능력이 높고, 회피/체념 대처전략보다 긍정적 대처전략을 택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긍정정서의 사회성 유무와 조망수용능력간의 관계에서는 성격변인인 친화성이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었다. 즉, 비사회적 긍정정서를 느낀 사람이 사회적 긍정정서를 느낀 사람에 비해 친화성이 높을수록 조망수용능력이 유의하게 높아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긍정정서의 사회성 유무와 긍정적 대처간의 관계에서는 친화성의 조절효과가 없었다. 사회적 긍정정서와 비사회적 긍정정서간의 차이 및 원인에 대해 언급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Common theories of affect underscore valence and arousal dimensions or specific emotion. However, given the role of affect in transacting social behavior, sociality may determine the subjective experience and interpersonal response to positive stimuli.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positive affect and perspective taking as well as positive coping. One potential moderating effect of agreeableness on these relations was also examined. In two experiments, film segments induced socially and non-socially generated positive affects. We hypothesized and found that positive affect associated with sociality would enhance perspective taking ability and positive coping, while non-social positive affect would not. Moreover, these effects varied as a function of the level of agreeablenes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social/non-social dimension influenced which positive affects elicited perspective taking and positive coping, which could not be explained by differences in subjective emotional valence or arousal.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as they point toward a previously overlooked relation linking sociality to positive affect.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론
  1.1 사회성 차원으로 구분한 정서
  1.2 사회적으로 유도된 긍정정서
  1.3 사회적 긍정정서와 조망수용능력
  1.4 사회적 긍정정서와 긍정적 대처
  1.5 성격변인의 조절효과
 2. 실험 1: 긍정정서의 사회성 유무와조망수용능력간의 관계
  2.1 실험방법
  2.2. 실험결과 및 논의
 3. 실험 2: 긍정정서의 사회성 유무와긍정적 대처간의 관계
  3.1. 실험방법
  3.2. 실험결과 및 논의
 4. 논의
 REFERENCES
저자
  • 심서영(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Olivia S. Sim (Department of Psychology, Yonsei University)
  • 손영우(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Young Woo Sohn (Department of Psychology, Yonsei University)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