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비 집중․집중 상태에 따른 청각 유발 전위의 반복 정량 분석 KCI 등재

Recurrence Quantification Analysis of Auditory Evoked Related Potential in Inattention and Atten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362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집중력이 중요한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비 집중 상태’와 ‘집중 상태’에 대한 뇌파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비선형 해석 방법의 하나인 반복 정량 분석(Recurrence Quantification Analysis, RQA)을 이용 하였다. 건강한 아동 21명(남성 12명, 여성 9명)을 대상으로, 청각 자극이 나오는 시점 전 500msec를 ‘비 집중 상태’ 자극 후 500msec를 ‘집중 상태’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반복 정량 분석의 파라미터 값은 ‘비 집중 상태’보다 ‘집중 상태’가 큰 것을 확인하였다(p < 0.05). 또한, 상태에 따른 유발 전위의 반복궤적과 색상 반복궤적을 도식화하여 비선형 특성을 확인하였고, ‘비 집중 상태’보다 ‘집중 상태’일 때 뇌가 복잡한 특징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을 통하여 청각 자극에 대한 비 집중·집중 시 뇌의 비선형 특성을 반복 정량 분석을 통해 해석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using RQA(Recurrence Quantification Analysis) about difference of electroencephalogram between inattention and attention among nonlinear methods for school age children who need attention.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by 21 healthy subjects(12 males and 9 females). Inattention state is 500msec before the beginning of the auditory stimuli, attention state is 500msec after the beginning of auditory stimuli. The results of RQA parameters are greater in attention state than inattention state. It showed a statistically difference(p < 0.05). According to two states, auditory evoked potentials are displayed RP and CRP in diagram form to confirm nonlinear characteristics and The brain dynamics in the attention is more complex than the inattention. It is feasible that the RQA can be useful for the analysis of complex brain dynamics associated during auditory attentional task.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론
 2. 본론
  2.1. 연구 방법
  2.2. 분석 방법
 3. 결과
  3.1. 주파수 분석
  3.2. 반복 정량 분석
 4. 결론
 REFERENCES
저자
  • 김혜진(연세대학교 생체공학협동과정) | Hye-Jin Kim (Graduate School of Biomedical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유선국(연세대학교 의학공학교실) | Sun-Kook Yoo (Department of Medical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교신저자
  • 이병채(용인송담대학교 의료정보과) | Byung-Chae Lee (Department of Medical Information System, Yong-In Songdam Colle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