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사회적 배제, 반려동물 키우기,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 탐색적 연구 KCI 등재

Social Exclusion, Raising Companion Animal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 Exploratory Stud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380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탐색적 연구는 사회적 배제 경험과 반려동물 키우기의 상호작용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참가자들이 공동체로부터 얼마나 존중받고 있는지(네/아니오), 현재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는지(네/아니오), 키우고 있다면 어떤 동물인지(복수응답 가능)에 대해 응답하게 하였고, 참가자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 사회적 배제를 경험한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심리적 안녕감이 낮았고, 반려동물을 키우는 집단은 키우지 않는 집단보다 심리적 안녕감이 높았다. 아울러 사회적 배제를 경험한 집단은 반려동물을 키울 때가 키우지 않을 때보다 심리적 안녕감이 높았고, 사회적 배제를 경험하지 않은 집단은 반려동물 키울 때와 키우지 않을 때의 심리적 안녕감에 차이가 없었다. 즉 사회적 배제(없음 vs. 있음)와 반려동물 키우기(안 키움 vs. 키움)의 이원상호작용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반려동물 키우기가 웰빙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는 조건과 없는 조건을 경험적 데이터를 통해 확인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가진다.

This exploratory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xperience of social exclusion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ompanion animal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individuals. Participants answered questions about whether or not they were respected by the community (yes or no); whether or not they currently have a companion animal (yes or no); and if they do, what kind of animal(s) they raise (multiple answers allowed). The study also assesse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participants. The group that experienced social exclusion demonstrated lower levels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an the group that did not. In addition, the group that reported the presence of at least one companion animal evinced higher levels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an the group that did not. Individuals who experienced social exclusion but lived with at least one companion animal were found to display superior psychological well-being than those who could not avail of the company of an animal. No difference in psychological well-being was found between those with a companion animal and those without one in the group that did not experience social exclusion. In conclusion, this study observed the effects of the binary interactions between social exclusion (experienced vs. not experienced) and the existence of companion animals (presence vs. absence)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people. The empirical data offer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the conditions in which companion animals do or do not improve psychological well-being in humans.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론
 2. 방법
  2.1. 참가자
  2.2. 재료
 3. 결과
  3.1. 설문 신뢰도와 집단 구분
  3.2. 결과분석
 4. 논의
  4.1. 시사점
  4.2. 한계와 향후 연구제안
  4.3. 결론
 REFERENCES
저자
  • 이국희(경기대학교 교양학부) | Guk-Hee Lee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