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HP 분석방법을 통한 감성심리 기반의 베이비부머 정책 우선순위 결정 KCI 등재

Study of the Priority of Baby Boomer Policy: Emotional Psychology through Analytic Hierarch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381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 세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감성심리 기반의 자기계발, 자아실현과 같은 삶의 질적인 측면을 고려한 베이비부머 평생교육 요구 및 평생학습 지원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하여 평생교육 지원 정책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베이비부머 세대를 위한 평생학습 지원의 최적 탐색을 위해 제1계층(상위기준) 2가지, 제2계층(세부기준) 6가지, 평가대안을 각각 5가지로 설정하였다. 제1계층에서는 어느 대안이 더 바람직한가의 문제인 ‘소망성’과 어느 대안이 더 실현가능한가의 문제인 ‘실현가능성’을 살펴보았고, 제2계층에서 ‘소망성’의 세부기준은 형평성, 대응성, 효율성으로 ‘실현가능성’의 세부기준은 재정적, 법·윤리적, 정치·행정적 실현가능성으로 각각 구분하여 설정하였다.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베이비부머 정책 우선순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베이비부머 세대를 위한 평생학습 지원은 ‘소망성(어느 대안이 더 바람직한가)’ 보다 ‘실현가능성(어느 대안이 더 실현가능한가)’에 더 큰 우선순위를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기준 6가지 중에서는 ‘평생실천활동’에 대한 우선순위가 높았으며, ‘평생학습활동’에 대한 5개 평가대안의 상대적 중요도에서는 ‘직업능력교육(0.377)’, ‘시민참여교육(0.181)’ 순으로, ‘평생실천활동’에 대해서는 ‘사회관계활동(0.200)’, ‘사회봉사활동(0.161)’ 순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평생교육 요구를 구체화, 세분화하고,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하여, 본격적인 노년기 진입을 앞둔 베이비 부머 세대 평생학습 정책을 위한 기초자료 마련에 도움을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s the social interest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is increasing, this study derives implications for lifelong education policy through identification of the need and support for lifelong education among baby boomers lifelong learning, taking into account such aspects of quality of life as emotional psychology-based self-development and self-realization. To optimally explore support for lifelong learning for the baby-boomer generation, first-tier (top-level), sixth-tier (bottom-level), and five-other evaluation criteria were available. For the first layer, we examined whether potentiality or realizability was more desirable, and for the second layer, detailed criteria for realizability were set up, dividing them into financial, legal, and administrative feasibility. A study conducted by experts on the policy priority analysis of Baby Boomers showed that their support for lifelong learning places a greater priority on its feasibility (the more feasible alternative) than desire (the more desirable option). Among the six criteria, lifestyle activities had high priority, 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five assessment alternatives for lifetime learning activities was shown to be higher for employment skills education (0.377), civil participation education (0.181), lifestyle activities (0.200), and ‘lifetime activities’ (06.11).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they can help shape and refine the needs of lifelong education, assess their relative importance, and prepare basic data for lifelong learning policies for baby boomers who are about to enter their old age.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론
 2. AHP 분석
  2.1. AHP 분석방법
  2.2. 조사대상
  2.3. 평가기준 및 정책결정 모형
 3. 연구결과
  3.1. AHP 분석결과
 4.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저자
  • 강주리(동의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 Ju-Ree Kang
  • 이충렬(해양산업연구원) | Chung-Real Lee
  • 황두경(동의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 Du-Kyung Hwang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