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Effect of Undercorrection on Visual Functioning Using Spectacle Lens and Multifocal Contact Lens in Young Adults KCI 등재

안경렌즈와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이용한 저교정이 시기능에 미치는 영향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397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멀티포컬 소프트 콘택트렌즈가 시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1.00 D 안경렌즈를 이용한 저교정과 비교하고자 한다.
방법 : 17명의 대상군(평균 23.6±2.1세)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대상군의 구면 굴절 이상이 ±1.00 D 범위 이며, 난시가 –0.75 D 미만인 자로 선정하였다. 나안(NC), 근용 +1.00 D 처방의 멀티포컬 콘택트렌즈(CM), +1.00 D 안경렌즈를 사용한 저교정 (UL) 등 3가지 교정 방법에 대해 각각 반복 측정하였다. 원용 시력은 고대비 및 저대비 차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원용 대비 민감도와 근용 시력을 측정하였다.
결과 : 시력 교정의 방법은 고대비와 저대비 차트를 이용한 원거리 시력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0.01), 근거리 시력에는 시력 교정의 방법이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았으며 (p=0.34), 원거리 대비 민감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1).
결론 :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는 최대 교정 시력과 대비 감도를 달라지게 하지 않았으며, 완전 교정 안경과 견줄 만한 전체적인 시각적 성능을 유지했다. 따라서, 중심부 근용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는 시각적 성능이 저하될 수 있는 40대 이상과 같이 다른 연령대에 더 많이 처방될 수 있다.

Purpose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sing multifocal soft contact lens on visual functioning compared to other vision correction methods, such as no correction, undercorrection with +1.00 D spectacle lens
Methods : Seventeen individuals were recrui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age range of the 17 participants (mean age of 23.6±2.1 years) who have less than sphere refractive error within the range of ±1.00 D with less than -0.75 D of astigmatism. Repeated measurements were performed using three different correction options; no correction (NC), correction using multifocal contact lenses (CM) with a plano power for distance and addition up to +1.00 D and undercorrection using +1.00 D spectacle lens (UL). Distance visual acuity with high contrast (100%) and low contrast (10%) vision chart, and distance contrast sensitivity, and near visual acuity were measured.
Results : The type of vision corre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istance visual acuity measured with the high and low contrast vision chart (p<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ear visual acuity among the correction types (p=0.34), the type of vision correction wor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istance contrast vision chart (p=0.01).
Conclusion : Multifocal contact lens did not alter the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and contrast sensitivity and maintain good overall visual functioning that are comparable to no correction. Therefore, using this center near multifocal contact lens in young adults can provide the high quality visual acuity for distance and near and relieve the accommodative burdens on near tasks.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Subjects and Methods
  1. Participants
  2. Informed consent and ethical approval procedures
  3. Vision correction and fitting methods
  4. Visual performance measurements
  5. Statistical analysis
 Ⅲ. Results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References
 요 약
저자
  • Inn-Jee Park(가야대학교 안경광학과) | 박인지
  • Byoung-Sun Chu(대구가톨릭대학교 안경광학과) | 추병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