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폴리에테르설폰-폴리페닐렌설파이드설폰 블렌딩 고분자를 이용한 음이온교환막의 제조 KCI 등재

Preparation of an Anion Exchange Membrane Using the Blending Polymer of Poly(ether sulfone) (PES) and Poly(phenylene sulfide sulfone) (PPS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406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폴리에테르설폰(PES)과 폴리페닐렌설파이드설폰(PPSS)을 블렌딩한 고분자를 이용하여 음이온교환막을 제작하였다. EDXS와 FT-IR 분석으로부터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이 음이온교환기인 -N-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1 mol/L의 황산 용액에서 이온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은 0.015~0.083 S/cm의 이온전도도를 가졌으며, 시판의 음이온교환막인 AFN과 APS의 값과 비교하여 동등 이상의 값을 가졌다.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의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용 격막으로 사용한지를 평가하기 위해 각 바나듐 이온의 투과를 측정하였다.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의 각 바나듐 이온의 투과도는 시판의 양이온교환막인 Nafion 117과 시판의 음이온교환막인 AFN과 비교하여 낮은 값을 가졌다.

The anion exchange membrane using the blending polymer of poly(ether sulfone) and poly(phenylene sulfide sulfone) was prepared. It was confirmed by EDXS and FT-IR analysis that the prepared anion exchange membrane had the -N- as an anion exchange group. The ionic conductivity in 1 mol/L H2SO4 aqueous solution was measured. The ionic conductivity of the prepared anion exchange membrane was 0.015~0.083 S/cm, and had a high value compared with AFN and APS as a commercial anion exchange membrane. Permeabilities of the vanadium ions through the prepared anion exchange membrane were tested to evaluate the possibility as a separator in vanadium redox flow battery. Vanadium ion permeation rate in the prepared anion exchange membrane had a low value compared with Nafion 117 as a commercial cation exchange and AFN as a commercial anion exchange membrane.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실 험
  2.1. PES-PPSS 음이온교환막의 제조
  2.2. 막 특성 측정
  2.3. 바나듐 이온의 막 투과도 측정
 3. 결과 및 고찰
  3.1.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의 모폴로지
  3.2.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의 막 특성
  3.3. 제작한 음이온교환막의 바나듐 이온 투과도
 4. 결 론
 Reference
저자
  • 황갑진(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그린에너지공학과) | Gab-Jin Hwang (Graduate School, Department Green Energy, Hoseo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유철휘(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그린에너지공학과) | Cheol-Hwi Ryu (Graduate School, Department Green Energy, Hoseo University)
  • 한주영(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그린에너지공학과) | Joo-Young Han (Graduate School, Department Green Energy, Hoseo University)
  • 이경한(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그린에너지공학과) | Kyung-Han Lee (Graduate School, Department Green Energy, Hoseo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