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2018 평창동계올림픽’에 재현된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 - ‘무용총’ ‘강서대묘'의 무용도, 사신도, 인면조를 중심으로 - KCI 등재

A study on Goguryeo-era Ancient Tomb Murals Reproduced in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Performance - Focusing on Muyongdo, Sasindo and Inmyeonjo paintings in ‘Muyongchong’ and ‘Gangseodaemyo’ tombs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4127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19.57.1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회식 공연에서는 오랜 역사와 전통문화 속에서 이상을 실현하는 한국의 모습을 그려내었다. 그 가운데 ‘평화의 땅’은 고구려 고분벽화인 무용총과 강서대묘에서 나타나는 무용도, 사신도, 인면조를 재해석하여 공연한 부분은 많은 관심을 받았다. 고구려 ‘고분벽화’는 고구려 시대 ‘옛 무덤의 벽에 그린 그림’을 말하는데 약 3세기말에서 7세기 전반까지 만들어졌으며 벽화의 내용, 구성 방식, 표현 기법에서 고구려인의 기질과 그들의 기상 그리고 많은 문화적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그러므로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회식에서 고구려 고분벽화를 내용으로 하여 재해석한 공연은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고구려 고분의 무용총과 강서대묘 벽화인 무용도, 사신도, 인면조와 ‘2018 평창동계올림픽’ 공연에서 현대적으로 재현된 무용도, 사신도, 인면조를 비교하여 논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고구려 고분벽화의 변화와 표현을 알아보고 무용총과 강서대묘 벽화의 주된 표현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회식 공연 가운데 ‘평화의 땅’에서 무용도, 사신도, 인면조가 현대적으로 어떻게 재해석되고 있는지 그 표현들을 논하였다.

The opening ceremony of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showed the image of Korea realizing its ideal in a long history and traditional cultures. In particular, the performance of ‘The Land of Peace’ drew much attention by reinterpreting Muyongdo, Sasindo and Inmyeonjo mural paintings found in the Goguryeo-era ancient tombs of Muyongchong and Gangseodaemyo. Goguryeo-era ‘ancient tomb murals’ refer to the ‘paintings drawn on the walls of ancient tombs’ during the Goguryeo Dynasty. Produced from about the late third century to the early seventh century, the murals show the spirit, vigor and cultural aspects of Goguryeo people in their contents, composition method and expression technique. In this regard, the performance in the opening ceremony of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which reinterpreted the contents of Goguryeo-era ancient tomb murals represented the pride of Koreans in their history and culture. This study conducted a discussion by comparing the Muyongdo, Sasindo and Inmyeonjo mural paintings in the Goguryeo-era ancient tombs of Muyongchong and Gangseodaemyo with the Muyongdo, Sasindo and Inmyeonjo reproduced in the performance in the opening ceremony of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For the discussion, the changes and expressions of Goguryeo-era ancient tombs were reviewed and the main expressions of the murals in Muyongchong and Gangseodaemyo tombs were examined. In addition, it was discussed how the performance of ‘The Land of Peace’ in the opening ceremony of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reinterpreted Muyongdo, Sasindo and Inmyeonjo paintings in the modern sense.

목차
Abstract
 국문요약
 1. 서론
 2. 고구려 고분벽화의 변화와 표현
 3. ‘무용총’(舞踊塚)과 ‘강서대묘’(江西大墓)의 구조와 주요 표현
 4. ‘2018 평창동계올림픽’에 구현된‘무용총’과 ‘강서대묘’의 주요 표현
 5.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오세권(대진대학교 현대조형학부) | Oh Se K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