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상품 이미지의 스테레오타입과 초정상 자극 이미지의 탈위계적 분석 KCI 등재

Non-Hierarchical Analysis on the Stereotype of Product Image and Supernormal Stimuli Ima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4140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19.57.2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상품 이미지의 스테레오타입의 형성을 아는 것은 우리 자신을 아는 것이며, 상품의 두 번째 가상 이미지의 새로운 위상을 획득하는 초정상 자극을 연구한다. 형상은 모든 현존의 근원이다. 형상은 우리 자신을 상당히 깊게 이해하는 근본이다. 인류는 지성을 문자화하지 않았으며, 지성의 세계를 문자화 형식으로 표현하기 힘듦을 알았다. 그러므로 이미지는 지식과 지혜이기 때문에 스테레오타입을 통한 소비자의 의식, 태도 변화와 스테레오타입의 필요성을 살펴본다. 긍적적인 스테레오타입의 형성이 미흡한 상품의 경우에는 두 번째 스테레오타입을 통한 상품의 촉진전략을 효율적으로 수립하는 과정을 살펴본 다. 또한 제품은 마케팅에서 실제와 다른 과장된 이미지를 필요로 한다. 시각화된 도시는 그대로의 실체이미지가 아닌, 잘- 만들어진 모조품 또는 이미지를 지향하게 된다. 잘-만들어진 과장된 모조품과 이미지는 제품을 가장 효과적으로 정보전달 하는 요소이다. 초정상 자극을 통해 제품을 파악하고 인지시킬 수 있는 또 다른 두 번째 상품 이미지의 필요성을 알아본다, 상품의 원본 이미지 보다 두 번째 가상의 상품 이미지로 형성된 스테레오타입과 초정상 자극 의해 만들어진 가상의 두 번째 이미지인 시뮬라크르가 원본을 지배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Knowing the formation of stereotype of product image is to know ourselves. This study researches the super normal stimuli that acquire the new status of the second virtual image of products. The form is the root of every existence. The form is the basis to deeply understand ourselves. Mankind did not transcribe the intelligence as they knew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express the world of intelligence in the form of literation. As all the images are knowledge and wisdom, the consumers’ consciousness and changes in attitude through stereotype, and the necessity of stereotype are examined. In case of products whose positive stereotype is not sufficiently formed, the process of efficiently establishing the product promotional strategies through the second stereotype is examined. Also, the products need some exaggerated images different from the reality in marketing. The visualized city aims for the well-made imitation or image, instead of the actual image as it is. Such well-made exaggerated imitation and image are the element that could deliver the information of products the most effectively. This study understands the necessity of another second product image that could impress and imprint the products through super normal stimuli.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dominating the original by simulacre which is the virtual second image created by super normal stimuli and the stereotype formed by the second virtual product image, rather than the original image of products.

목차
Abstract
 국문요약
 1. 서론
 2. 스테레오타입과 초정상 자극에 대한이론적 고찰
 3. 스테레오타입과 초정상 자극의탈위계적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저자
  • 나형식(홍익대학교 공예·디자인대학원) | Na Hyeong Si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