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둔형 습지 조류는 습지 생태계를 구성하는 중요한 고차소비자임에도 불구하고, 눈에 잘 띄지 않는 습성과 신뢰도 있는 조사 방법의 부재로 인하여 국내에서는 서식 현황 및 개체군 경향성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조류 조사 시 가장 일반적으로 활용하는 수동적인 성격의 정점조사법과 탐지 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음성조사법을 병행하는 방식의 은둔형 습지 조류를 대상으로 한 국외 프로토콜 (Standardized North American Marsh Bird Monitoring Protocols; SNAMBMP)을 시범적으로 적용하였다. 그 결과, 흰눈썹뜸부기 (Rallus indicus)와 쇠뜸 부기사촌 (Porzana fusca), 뜸부기 (Gallicrex cinerea), 호사 도요 (Rostatula benghalensis) 4종이 탐지되었지만, 점유율이 매우 낮은 상태로 상당히 희귀한 개체군으로 판단된다. 다만, 흰눈썹뜸부기와 뜸부기의 경우 동종의 음성을 이용한 조사 방법이 다른 방법에 비해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국내에 서식하는 은둔형 습지 조류의 종 인 벤토리 확보 및 개체군 경향성 파악을 위해서는 생물다양성 확보를 목적으로 한 전국 단위의 생태계 조사 사업 지침에 SNAMBMP 방식의 조사 세부 지침을 추가 수록함과 더불어 조사 시 전 과정에 대한 녹음을 통해 음성 파일 확보를 제안한다.
Although inconspicuous marsh birds are an indicator of marsh health, there is little understanding of their status and population trends due to their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lack of reliable survey methods in Korea. We applied the Standardized North American Marsh Bird Monitoring Protocols (SNAMBMP) already validated in North America for effective survey of the marsh birds. We selected 29 sites with emergent marshes, rice fields and riparian forests in Seocheon-gun, Buyeo-gun and Gunsan-si. We conducted the survey with a combination of passive 5 minute point-count and vocal survey method (30 seconds call-broadcasting+30 seconds silence) that was targeted eight species 2~7 times/site from March to July 2017. Four species, Browncheeked Rail (Rallus indicus), Ruddy-breasted Crake (Porzana fusca), Watercock (Gallicrex cinerea) and Greater Painted-snipe (Rostatula benghalensis), were detected at one site respectively (naïve occupancy rate=0.035). Vocal survey method with conspecific call-broadcasting provided better on Brown-cheeked Rail and Watercock than the others. We suggest a combination of passive point-count and vocal survey method like SNAMBMP to monitor inconspicuous marsh birds at nationwide scale and collection of sound files through recording of the entire process during the 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