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예비유아교사의 교육봉사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KCI 등재

The Influ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ducational Service on Teacher-Child Interaction : Focusing on the mediator effect of teacher efficac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427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봉사의 적정 시간을 확인하고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교육봉사 시간의 영향력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의 교육봉사 시간에 따른 첫째,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 둘째, 교육봉사 시간, 교사효능감, 교사- 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그리고, 마지막으로 교육봉사와 교사-유아상호작용에 있어서 교사효능 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4년제 대학에서 3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272명이었다. 연구방법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교육봉사,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조사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봉사 시간에 따라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교육봉사 시간과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에는 정적상관이 있었다. 셋째, 교육봉사 시간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교사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에비유아교사를 위한 교육봉사 프로그램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ppropriate time of educational service and to verify the effect of educational service on teacher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were investigated : 1. difference of teacher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by educational service time, 2.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ervice,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3. mediation effect of teacher efficacy in educational service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2 students in 3rd grade at 4-year university in Seoul and Kyonggi–do. Through questionnaires, the educational service, teacher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were investiga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hours of service.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ervice hours, teacher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hird, teacher efficacy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educational service hours and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on educational service program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Ⅲ. 연구결과
  1. 예비유아교사의 교육봉사 시간에 따른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분석
  2. 예비유아교사의 교육봉사 시간,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상관관계
  3. 예비유아교사의 교육봉사 시간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이은정(경동대학교 유아교육과) | Lee Eun-Jung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yungdong University)
  • 이소현(경동대학교 유아교육과) | Lee So-Hyu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yungdo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