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안동댐과 임하댐 퇴적물 및 유입 부유물질의 중금속 특성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Heavy metal Characteristics of Sediments and inflow Suspended Solid of Andong and Imha-Da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432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본 연구에서는 안동댐과 임하댐의 퇴적물과 유입되는 부유물의 특성을 색도분석, X-선회절분석 및 유도플라즈마/질량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안동댐과 임하댐으로 유입되는 부유물 및 댐 퇴적물의 광물조성은 석영, 사장석, 녹니석, 일라이트이며 소량의 몬모릴로나이트와 캐올리나이트를 포함하고 있다. 안동댐 퇴적물과 다르게 임하댐 퇴적물에는 다량의 방해석을 포함하고 있다. 색도는 시료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회갈색에서 어두운 주황색 정도이다. 퇴적물의 중금속 농도는 안동댐이 임하댐보다 더 높다. 안동댐과 임하댐 퇴적물과 유입 부유물질의 주요 중금속 농도는 미국의 국립해양대기관리청의 기준을 적용할 경우 높은 오염도를 나타낸다. 안동댐 퇴적물의 중금속 농도가 임하댐보다 높은 것은 안동댐으로 유입되는 부유물질의 중금속 농도가 임하댐으로 유입되는 부유물질의 중금속 농도보다 높기 때문이다.

In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sediments and suspended solids flowing into Andong and Imha Dam was analyzed by color, X-ray diffraction and ICP/MS analysis. The minerals of sediments and suspended solid consist mainly of quartz, albite, chlorite, illite and small amounts of montmorillonite and kaolinite. Unlike the Andong Dam, the Imha Dam sediments contain large amounts of calcite. Color of sediments and suspended solids varies from grayish brown to dark orange. The concentrations of major heavy metals of sediments and suspended solids in the Andong and the Imha Dam are higher than the U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standard values.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sediments of Andong is higher than that of Imha Dam becaus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the suspended solid flowing into Andong is higher than that of Imha Dam.

목차
요약
 ABSTRACT
 서 언
 연구 방법
  시료 채취
  분석 방법
 결과 및 토의
  부유물질과 퇴적물 시료 채취 지점 현장 측정 결과
  부유물 및 퇴적물 색도 측정
  X-선회절분석결과
  부유물질 및 퇴적물의 중금속 특성
 결 론
 REFERENCES
저자
  • 서정민(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Jeong Min Seo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Andong National University)
  • 김영훈(안동대학교 환경공학과) | Young Hun Kim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Andong National University)
  • 권혁진(환경부 대구지방환경청) | Hyuk Jin Kwon (Daegu Regional Environmental Office, Ministry of Environment)
  • 김정진(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Jeong Jin Kim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Ando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