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Usefulness Evaluation of Algorithm Conversion Method for Dose Reduction in Brain CT Examination KCI 등재

두부 CT 검사에서 선량감소를 위한 알고리즘 변환방법의 유용성 평가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438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한국방사선학회 (The Korea Society of Radiology)
초록

두부 CT 검사 시 일반적으로 검사 시 적용하는 스캔조건 및 알고리즘을 기준으로 선정 후 알고리즘 변 경 적용을 통한 선량감소효과를 실험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선량감소효과는 관전압 보다 관전류 변화 시 의미가 있었으며, 인체 팬텀을 이용한 화질 평가는 Smooth 알고리즘적용 후 선량을 감소 시 Bone 알고리즘적용 후 선량을 감소 시 보다 상대적으로 화질 감소가 적었으며, 특히 Bone 알고리즘적용 시 에는 평균 CT Number 또는 Pixel value의 편차가 상대적으로 크게 측정되었다. 즉 선량은 감소되고 화질은 유지하여 환자의 피폭 선량을 감소시키고 동일한 화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조건은 Smooth 알고리즘 적용과 120 kVp, 160 mA라는 결과 값을 얻을 수 있었다. 이 때 선량은 약 28 % 감소되며 평균 CT Number 또는 Pixel value도 오차가 상대적으로 적게 측정 되었다. 향 후 스캔조건 및 다양한 알고리즘 적용 후 그 결과를 검진 또는 추적검사 등으로 내원한 환자에게 적용하여 검사 한다면 환자 피폭선량 감소에 있어 매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Based on the scan conditions and algorithms that are generally applied during examinations during head CT examinations, the results of dose reduc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algorithm changes were investigated through experiments. As a result, the dose reduction effect was more meaningful for the change of perfusion than for the tube voltage, and the quality evaluation using the brain phantom was relatively less reduced when the dose was reduce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Bone algorithm, especially for the application of the Bone algorithm, and the deviation of the mean CT number or Pixel value was measured relatively significantly. In other words, the conditions under which dose was reduced and quality was maintained to reduce the patient's exposure dose and obtain images of the same quality were obtained with the application of the Smooth algorithm and the resulting values of 120 kVp, 160 mA. At this point, doses were reduced by about 28 %, and the mean CT number or Pixel value was also measured with relatively little error. If the results are applied to patients who visit the hospital for examination or follow-up after applying various algorithms and follow up scan conditions, the results are considered to be very useful in reducing patient exposure dose.

목차
ABSTRACT
 I. INTRODUCTION
 Ⅱ. MATERIAL AND METHODS
  1. 스캔조건 변화에 따른 선량평가
  2. Algorithm 및 스캔조건 변화에 따른 화질 평가
 III. RESULT
  1. 스캔조건 변화에 따른 선량평가
  2. Algorithm 및 스캔조건 변화에 따른 화질 평가
 IV. DISCUSSION
 V. CONCLUSION
 Reference
저자
  • Hyeon ju Kim(동남보건대학교 방사선과) | 김현주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