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뇌졸중 환자용 기본 일상생활 평가도구 개발(2) KCI 등재

Development of a Basic ADL Instrument for Persons With Strok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646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실정에 맞는 뇌졸중 환자용 일상생활 평가도구를 만드는 것이다.
연구방법 : 문헌 조사를 통해 기존의 일상생활 평가항목들을 수집한 후 평가도구의 타당도를 낮춘다고 지적된 바 있는 항목들을 삭제하였다. 그리고 작업치료 전문가 집단에 의뢰하여 이 평가목록 중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 평가항목으로서 부적절한 항목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34개 항목으로 서울에 소재한 병원급의 근무하고 있는 임상경력이 3년 이상인 27명의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Q표본분류방법을 이용하여 현재 치료하고 있는 환자들을 고려한 중요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조사를 통해 얻어진 Q점수의 평균값을 사용하여 순위가 낮은 10개 항목을 삭제하였다. 이로써 하위항목을 포함하여 29개 평가항목으로 기본 일상생활 평가도구를 구성하였으며, 주변인의 도움 정도(%)로써 채점 기준을 마련하였다. 이 평가도구의 검사자간 신뢰도를 조사하여 신뢰도가 낮은 5개 항목을 삭제하였고 남은 항목을 수정한 뒤 검사자간 신뢰도를 재조사한 결과 0.75이상의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기본 일상생활 평가도구를 뇌졸중 외래환자 72명을 대상으로 사용하였으며, 이 조사를 통해 얻어진 자료를 다중회귀분석을 함으로써 설명력이 99.0%인 항목을 최종적으로 선택하여 평가도구를 구성하였다. 입원환자와 달리 외래환자의 경우 ‘용변을 보기 위해 옷 벗고 다시 입기’, ‘방바닥, 침대에서의 기능적 이동성’, ‘신체 각 부위에 대해 비누질 한 후 씻고 수건으로 닦기’, ‘자동차로 옮겨 앉기’ 항목이었다. 또한, 각 평가항목에 대해 다중회귀 계수의 비를 구하여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외래환자는 ‘실내보행’ 항목에 4배, ‘자동차로 옮겨 앉기’, ‘양치질하기’, ‘적절한 식사도구 사용하기’의 3개 항목에 3배, ‘신발, 양말 신고 벗기’ 항목에 2배의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그 결과 총점의 범위가 0-80점에 해당하는 일상생활 평가도구를 완성할 수 있었다.
결론 : 본 평가도구의 평가항목간 내적 일치도는 Cronbach α계수가 0.93이었다. 앞으로 본 평가도구에 대한 공인타당도, 구성타당도 연구 그리고 검사-재검사 신뢰도 연구가 필요하며, 뇌졸중 환자 집단에 대한 임상적 유용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o develop a basic ADL instrument for persons with stroke, reflecting our cultural values.
Methods : The ADL instruments that have been developed previously were gathered, excluding the ADL items, which lowered the validity of the instrument. We surveyed occupational therapists on the values of basic ADL with a total of thirty-four item cards. The value of ADL was measured by Q sorting technique. And seventy-two outpatients with stroke were evaluated to gain final items selection and weighted items.
Results : Ten items for outpatients were selected. For outpatients, functional ambulation at indoor was weighted to four times; ‘transferring to car’, ‘brushing teeth’, and ‘using proper utensils’ were weighted to three times, and ‘dressing and undressing shoes and socks’ was weighted to two times.
Conclusion : We developed a basic ADL instrument for outpatients and the range of score of each instrument was 0~80. The internal consistency for outpatients was high(Cronbach α=0.93). However, further study requires the concurr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and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present ADL items.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조사 대상
  2. 연구 과정
  3. 자료처리 및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박경영 | Park Kyoung-Young
  • 이충휘 | Lee Chung-Hwi
  • 정민예 | Jung Min-Ye
  • 유은영 | Yoo Eun-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