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발달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대동작 운동기능 평가와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Ⅱ의 상관관계 연구 KCI 등재

Correlation of GMFM and BSID-Ⅱ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649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뇌성마비가 아닌 발달장애로 진단된 아동을 대상으로 GMFM과 BSID-Ⅱ 평가를 각각 실시한 후 GMFM이 BSID-Ⅱ의 하위 항목들과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발달장애 아동의 평가도구로써 활용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연구의 대상은 인하대학부속병원 재활의학과에서 뇌성마비 이외의 발달장애로 진단받은 만 3세 이하의 아동 26명을 대상으로 GMFM과 BSID-Ⅱ를 평가하였다. 대상자들의 특성에 따라 조산의 유무, 출생시 체중, 역연령에 따라 구분한 후 각 집단간 차이 및 두 평가도구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 : 발달장애 아동 26명 중 조산의 유무와 출생시 체중에 따라 각 집단간 GMFM, BSID-Ⅱ 정신척도, BSID-Ⅱ 운동척도의 점수를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교정연령에 따른 집단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또한 집단간 GMFM과 BSID-Ⅱ 정신척도는 조산아(r=0.68), 만숙아(r=0.67), 저체중아(r=0.63), 평균체중아(r=0.72)에서 모두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GMFM과 BSID-Ⅱ 운동척도도 조산아(r=0.57), 만숙아(r=0.89), 저체중아(r=0.65), 평균체중아(r=0.90)에서 모두 상관관계가 있었다. 전체 아동의 GMFM과 BSID-Ⅱ 정신척도의 상관계수는 0.71, GMFM과 BSID-Ⅱ 운동척도의 상관계수는 0.84로 관계가 있었으며, 교정연령 상 하위집단에서 0.56-0.85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볼 때 발달장애 아동의 GMFM과 BSID-Ⅱ의 평가 결과는 모두 뚜렷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발달장애 아동의 운동기능을 평가하는데 있어 GMFM의 적용가능성을 보여주는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We compared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GMFM) and the Bayley Scale of Infant Development-second edition(BSID-Ⅱ)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GMFM in evaluating infa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xcept cerebral palsy.
Methods : Subjects were 26 infants with a mean corrected age of 16.26(SD=8.17). Subjects divided into subgroups by gestational age, birth weight, corrected age. The GMFM and BSID-Ⅱ were administered to the total infants.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y Mann-Whitney U test and Spearman’s correlation, using SPSS-PC(version 10.0).
Results :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comparison of the GMFM percentage scores with the BSID-Ⅱ raw scores in subgroups expect corrected age group.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GMFM scores and BSID-Ⅱ mental scale were ranged between 0.63 and 0.72, those of GMFM scores and BSID-Ⅱ motor scale were ranged between 0.57 and 0.90 in subgroups. The averag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GMFM scores and BSID-Ⅱ mental scale were 0.71, those of GMFM scores and BSID-Ⅱ motor scale were 0.84 in total subjects.
Conclusion :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GMFM and BSID-Ⅱ are valuable in evaluating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s. Implications for selection and use of either measures are discussed.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연구 기간
  2. 연구 도구
  4. 연구 과정
  5.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연구대상자의 특성
  2. GMFM과 BSID-Ⅱ의 상관관계
 Ⅳ. 고 찰
 Ⅴ. 결 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김지선
  • 김태현
  • 고대영
  • 강연경
  • 한윤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