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 평가도구(SS-QOL)의 요인분석을 통한 판별․집합 타당도(discriminant-convergent validity)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국내에서 번역된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일대일 면접방법을 통하여 삶의 질을 평가하였다. 130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다.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우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에서 일차적으로 9개의 잠재변인과 36문항으로 축소되었다. 개념적으로는 각기 다른 영역인 상지기능-자조활동, 기분-성격, 사고력-시력이 각각 하나의 요인으로 묶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은 경험적인 지지를 하지만 선험적인 지지를 하지 못하므로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지기능-자조활동은 자조활동으로 하나의 요인으로 묶였으며 내용타당성(content validity)의 부분에서도 동일한 개념을 측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사고력과 시력은 경험적, 선험적으로 각각 두개의 요인으로 나눌 수 있었다. 하지만 기분과 성격은 경험적으로 하나의 요인으로 나왔지만 심리학적으로 명확한 두개의 요인이므로 두개로 나누어 사용해야 한다.
결론 : 기존의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 평가도구는 12 잠재변인을 측정하고 48개의 문항으로 되어 있지만 본 연구의 결과 11 잠재변인과 34개의 문항으로 판별․집합 타당도가 평가되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 평가도구의 구성타당도를 평가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ttest the discriminant-convergent validity through the Factor Analysis of evaluation tool on SS-QOL.
Methods : Evaluated the stroke patients through one to one interview by using the evaluation tool of SS-QOL. Data collection towards 130 stroke patients was conducted. In order to attest the validity, conduc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n conducte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 SS-QOL measures 9 latent variables and it is composed of 36 items by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However, EFA tied up conceptually different areas such as the function of upper extremity and self care, mood and personality, and thinking and vision. But EFA just support the empirical aspect, doesn't support the theoretical aspect, we carried ou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As a result,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self care were combined as one factor, and in the part of content validity, they were the same concepts. Thinking and vision were divided into two factors experimentally and theoretically. However, in case of mood and personality, they were regarded as one factor experimentally but they need to be divided into 2 because they are two factors in the aspect of psychological theory.
Conclusion : The existing evaluation tool of SS-QOL measures 12 latent variables and it is composed of 48 items. However, the result discriminated with 11 latent variables and it is composed of 34 items and its discriminant convergent validity was attested. In the future study, the effort to evaluate the construct validity of SS-QOL evaluation tool should be ma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