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감각통합프로그램이 뇌성마비아동의 균형 및 시각 주의 집중 행동에 미치는 효과 KCI 등재

The Effect of Balance and Visual Attention Concentration Behaviors in Child With Cerebral Palsy who Receive Sensory Integration Progra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652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뇌성마비아동에게 촉각 및 전정감각의 감각통합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균형 및 시각 주의 집중 행동에 변화를 보이는 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 단일대상연구인 ABA 반전 설계법이며, 검사 도구는 감각력 검사와 임상관찰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은 2005년 7월부터 2005년 10월까지 3개월간 총 34회기를 실시하였다. 기초선 I과 기초선 II 단계는 각각 2주간 5회에 걸쳐 실시하였고, 중재프로그램은 8주간 주 3회씩 총 24회기 동안 연구자가 구안한 촉각훈련 프로그램과 전정감각 프로그램을 40분간 실시하였다.
결과 : 뇌성마비아동에게 감각통합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손집기 행동, 시선 회피 행동 및 눈 깜박거림 행동이 감소하였다. 특히 눈 깜박거림 행동이 가장 많이 감소를 하였으며 이는 촉각과 전정감각을 중심으로 한 감각통합프로그램이 눈 깜박거림 행동의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론 되었다.
결론 : 본 연구결과를 통해 촉각과 전정감각을 중심으로 한 감각통합프로그램이 뇌성마비아동의 균형 및 시각 주의 집중 행동의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actile and vestibular sensory integrative programs on the balance and visual attention concentration behaviors in child with cerebral palsy.
Methods : Design was a single-subject ABA reversal design conducting 34 sessions. The subject was tested five times before, twenty-four times during, and five times after intervention.
Results : Balance and Visual Attention Concentration behaviors are effected on sensory integrative program. Twinkling of an eye behaviors did large change by this study. Hand support, avoiding of eye contact and twinkling of an eye behaviors was reduced by the therapy.
Conclusion : Tactile and Vestibular Sensory Integration program can be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Balance and visual attention Concentration of child with cerebral palsy.

목차
I. 서 론
 II.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대상 아동의 임상적 관찰
  3. 연구기간 및 훈련 장소
  4. 연구절차 및 지도계획
  5. 검사 도구
  6. 연구 설계
  7. 자료 처리
 III. 연구 결과
  1. 감각통합훈련이 뇌성마비아동의 손집기 행동에 미치는 효과
  2. 감각통합훈련이 뇌성마비아동의 시선 회피 행동에 미치는 효과
  3. 감각통합훈련이 뇌성마비아동의 눈 깜박거림 행동에 미치는 효과
 IV. 고 찰
  1. 연구방법에 대한 고찰
  2. 연구결과에 대한 고찰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미점 | Kim Mi-Geom
  • 박재국 | Park Jae-K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