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시열반응과제를 통한 정신 훈련과 실제 훈련의 효과 KCI 등재

Motor Skill Learning Through Mental Imagery Training With Serial Reaction Time Tas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654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운동학습은 신체적인 연습과 경험의 결과로 동작에 대한 기술 습득의 과정으로 표현된다. 최근 정신적 훈련을 통해 운동 기술의 습득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연구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시열반응과제를 통하여 실제 훈련과 정신 훈련의 효과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50명의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정신 훈련군, 실제 훈련군, 대조군으로 무선적 배치하였다. 측정된 시열반응과제는 컴퓨터 화면에 제시되는 네 가지의 색깔에 대응하는 반응패드를 손가락을 이용하여 최대한 빨리 정확히 누르도록 하고, 반응 시간을 측정하였다. 정신 훈련군과 실제 훈련군은 정신 및 실제 훈련을 하루 30분, 2주 동안 훈련하였고, 훈련 시간은 동일하게 설계하였다.
결과 : 이요인 반복 측정 공분산 분석의 집단 간의 주 효과 검정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으며, 집단×훈련 전·후 간의 상호작용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p<.05). 또한 사후 검정에서 정신 훈련군과 대조군, 실제 훈련군과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러한 결과는 훈련 후 대조군에서의 시간의 감소보다 정신 훈련군과 실제 훈련군에서의 과제 수행 시 시간의 감소가 더 크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정신 훈련군에서 실제 훈련군과 같이 운동 학습의 효과가 나타났으며, 정신 훈련은 효과적인 운동학습을 위한 방법임이 입증되었다. 그러므로 운동제어와 인지학습을 시켜야 하는 재활 영역에서 뇌손상 환자에게 학습을 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정신 훈련을 채택할 수 있으며, 마비측의 실제 훈련을 수행하기에 어려운 상황에서는 정신 훈련이 더 효과적일 수 있고, 실제 훈련과 비슷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 Motor learning has been traditionally defined as the acquisition of skilled movements through physical practice. An increasing number of investigations have recently studied the effect of imagery practi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ctual and imagined practice. Thu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s of physical practice and mental imagery training on the sequential motor task.
Methods : Total of fifty college students(25 male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with written informed consent, who had no history of neurologic or visual deficits.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mental, physical, and control group). Different subjects participated in each experiment. Subjects were asked to press the matched button as quickly and accurately as possible, when one of five colored lights was displayed on computer screen(red, yellow, green, blue). Reaction time was recorded during five randomly ordered blocks at the pre and post test in all groups.
Results : A repeated measurement of two way ANCOVA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a main effect of group and interaction of group by pre-post test, but not in a main effect of pre-post test.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between group comparison in post-hoc analysis, which showed a great reduction in RT for mental and physical training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Conclusion :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improvement of the motor skill occurred in both mental and actual practice, and mental imagery training is as much effective as the actual training. The sequential motor task through motor imagery practice improves performance by acting both on the preparation and anticipation on execution of movements. Motor imagery training might provide great benefits with brain damaged patients who could not perform the actual movement, by practicing virtual tasks that required motor planning and execu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실험 방법
 3.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권용현 | Kwon Yong-Hyun
  • 장종성 | Chang Jong-Sung
  • 홍지헌 | Hong Ji-Hun
  • 김중선 | Kim Chung-S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