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주거 환경에 있어서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인식 및 필요도, 중요도 조사 - 작업치료를 받는 환자와 보호자를 중심으로 - KCI 등재

Understanding, Need, and Importance of Universal Design in Home Environment - Focusing on Patients and their Caregiver in Occupational Therapy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656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와 보호자 중 뇌졸중 환자를 중심으로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인지도와 현재 생활하고 있는 주택 환경 내에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의 필요도 및 중요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서울과 경기도의 종합병원에서 작업치료를 받고 있는 외래 환자와 보호자 112명을 대상으로 2006년 11월 27일~12월 22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지식 여부,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택의 편리도,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필요도 및 중요도로 구성되었다.
주택의 편리도,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필요도 및 중요도에 관한 설문은 주택 입구, 현관, 방, 부엌, 욕실, 주택 전체에 있는 설비 및 가구에 대한 항목으로 나누어 총 5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4점 척도로 구성되었다.
결과 :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해서 이번 연구 전에 들어본 적이 있는 사람은 환자 33.9%, 보호자 35.7%이었다. 유니버설 디자인을 가옥에 적용할 의사는 환자의 경우 33.9%, 보호자의 경우 57.1%이었다. 환자 및 보호자가 현재 생활하고 있는 주택 전반에 걸친 편리도는 환자의 경우 2.89점, 보호자의 경우 2.82점이었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이 필요한 부분은 환자나 보호자 모두 주택 입구, 욕실, 주택 전체에 있는 설비 및 가구의 순서였다.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이 중요한 부분은 환자의 경우 주택 입구, 욕실, 현관의 순서였고 보호자의 경우에는 주택 입구, 부엌, 욕실의 순서로 중요하다고 하였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환자와 보호자의 인식도가 낮은 편으로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가옥 구조의 변경과 보조도구의 사용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장점을 환자와 보호자들에게 인식시켜줄 필요가 있고 유니버설 디자인을 가옥에 적용 할 때 주택 입구, 욕실, 부엌에 대한 세심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need and importance of a universal design in home environments for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who have experience in occupational therapy.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2 out-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who have experience in occupational therapy at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do.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nd collected from November 27th to December 22th, 2006. The questionnaire included 51 questions (4-points) and was composed of each subject's general information, knowledge of a universal design, convenience of their home, needs, and importance of a universal design. The items concerning convenience of home, needs, and importance of a universal design were divided into home entrance, front door, room, kitchen, bathroom, facilities, and furniture that exist all around their home.
Results : The subjects who had knowledge of a universal design before this study were 33.9% for patients and 35.7% for caregivers. 33.9% of patients and 57.1% of caregivers wanted to apply a universal design in their home. Areas that required a universal design were home entrance, bathroom, facilities, and furniture that exist all around the homes of both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The important areas in the application of a universal design for patients were home entrance, bathroom, and front door, while in the case of caregivers they were home entrance, kitchen, and bathroom.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understanding of a universal design in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was low, so informing them on the merits of a universal design in order to improve the independence of clients is needed. When occupational therapists apply a universal design to a home, they have to consider carefully the home entrance, bathroom, and kitchen.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2. 연구 도구
  3.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일반적 특성
  2. 현 주택에서의 생활 특성
  3.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인지도
  4. 환자 및 보호자의 현 주택에서의 편리도
  5. 수리여부에 따른 편리도
  6. 항목별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필요도 및 중요도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수정 | Lee, Su-Jung
  • 이현숙 | Lee Hyun-Suk
  • 이경식 | Lee, Kyoung-Si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