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포괄적 재활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재활동기의 수준과 이를 바탕으로 삶의 질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 조성 및 유발에 효과적으로 재활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 도록 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이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분당 및 용인에 소재한 재활전문병원 3곳과, 부평시에 소재한 재활전문병 원 1곳, 서울에 위치한 요양병원 1곳에서 2008년 12월부터 2009년 1월까지 재활운동치료를 받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200명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 : 재활동기와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분석 결과 긍정적 및 부정적 재활동기, 의료기관 및 사회적 도움 기대 정도에 대해 5개 영역(삶의 질, 신체적 건강영역, 심리적 건강영역, 사회적 건강영역, 환경영역)에서 모두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 .05). 그리고 재활동기와 삶의 질 간의 종합적인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재활동기에 대해 사회적 건강영역의 만족도(beta .680)가 클수록 높게 작용하였고, 그 다음 이 전반적인 삶의 질(beta .285), 신체적 건강영역(beta - .250)이었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와 삶의 질은 각 요소의 밀접한 관계에 있고 그중에서도 사회적 건강영역의 만족 도와 재활동기가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뇌졸중 환자가 사회적 건강영역의 부문의 만족도 가 증진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중재를 개발하여 제공한다면 이들의 삶의 질은 더 높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shed ligh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rehabilitation-motivat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after a cerebrovascular accident. Method :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5 rehabilitation medical centers in the Seoul and Gyonggi-do districts from Dec. 2008 to Jan. 2009.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n SPSS 10.0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 The results are as follows: For mean rehabilitation-motivation, the total score was 10.81, while for mean quality of life, the total scores was 14.94. The positive rehabilitation-motivation was influenced by the onset of patient status (F=2.701, p=.015), education level (F=6.532, p=.000), economic status (F=4.668, p=.001), while the negative rehabilitation-motivation was influenced by medical insurance forms (F=3.490, p=.009), economic status (F=4.155, p=.003), and education level (F=7.209, p=.000). Also, expectations regarding the medical institution & the social support were influenced by sex (F=2.281, p=.024), age (F=3.827, p=.001), medical insurance forms (F=4.485, p=.002), education level (F=11.332, p=.000), and economic status (F=4.776, p=.001).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after a cerebrovascular accident was influenced by medical insurance forms, education level, and economic status (p< .05). As a result, the more quality of life in social health increases, the more rehabilitation-motivation is influenced (beta .680). Second, is the general quality of life (beta .285), while third is physical health(beta -.250). Conclusion :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an affinity between perceived rehabilitation-motivat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after a cerebrovascular accident, particularly relationships between quality of social health and rehabilitation-motivation. Therefore, we should come up with programs to provide patients after a cerebrovascular accident so that they can increase their quality of life in social 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