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는 2명의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아동을 대상으로 자신이 과제 수행하는 장면의 동영상 시청이 문제행동과 과제 수행시간 변화에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독립변인은 아동이 과제 수행 중 문제행동이 10분간 촬영된 동영상 시청으로 설정하였고, 종속변인은 과제 수행 중 (1) 몸 흔들기, (2) 필요 없는 말하기와 (3) 과제 수행시간의 변화로 정하였다. 개별 실험 연구 중 AB디자인을 적용하였고, 기초선과 중재기간에 과제를 수행한 아동의 모습을 촬영하여, 동영상을 시청하도록 한 후,아동의 문제행동발생 빈도와 수행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 : 동영상 시청 후 아동의 문제 행동은 중재 전 보다 감소되었는데, 대상자 1의 경우 몸 흔들기는 평균 11.8회, 필요 없는 말하기는 6.3회 감소되었고, 과제 수행시간도 5분 6초 단축되었다. 대상자 2 역시 몸 흔들기는 평균 11.4회, 필요 없는 말하기는 4.4회 감소되었고, 과제 수행시간도 5분5초 단축되었다. K-CBCL 문제행동도 대상자 1은 3점, 대상자 2는 2점이 감소되었다. 결론 : 동영상 자기 관찰법은 문제 행동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ADHD 아동의 자기 인식을 높여 내적 피드백을 제공해 주므로 아동의 문제행동감소에 효과적이며, 이는 일반 아동에 비해 지연된 과제 수행시간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별 제작과 다양한 장소에서의 사용이 용이하다는 동영상의 장점을 활용하여 가정과 교육현장에서 자기 관찰법을 적용한 후속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whether video-based self-observa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their problematic behavior and the time taken to complete the assignment. Methods: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considered to be watching of the video by the children.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as follows: (1) body movement, (2) saying unnecessary things, and (3) change in assignment execution time. For the individual experiment, A-B design was applied. Using these baselines, the above mentioned videos were shown to the children for 7minutes. Following this, the children were assessed for the frequency of problematic behaviors and the time to complete the assignment. These data were used to plot a grasp. Results: After the children watched the video, their problematic behavior decreased. In the first participant, body movement decreased by 11.8 times on an average, saying unnecessary things by 6.3 times, and assignment execution time by 5.5 minutes. In the second participant, body movement decreased by 11.4 times on an average, saying unnecessary things by 4.4 times, and assignment execution time by 5.5 minutes. In K-CBCL assessment, problematic behavior scores of participant 1 and 2 were decreased by 3 and 2 points respectively. Conclusion: When children were made to watch a video of them executing an assignment, their selfrecognition increased; thus, this exercise provided internal feedback to these children who were earlier insufficiently aware of their behavior. Therefore, this technique was effective in reducing problematic behavior in these children moreover; the time taken by them for executing an assignment was lesser than that taken by normal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