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알코올 중독자를 대상으로 한 비약물적 치료 프로그램이 삶의 질, 심리사회 기능 및 알코올 소비량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이러한 치료기법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검색방법 : 국내외 논문테이타베이스에서 검색어를 이용한 전자 검색과 관련 저널에서 수기 검색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선정기준 : 1990년부터 2011년 5월까지 포함하는 알코올 중독으로 진단받은 성인을 대상으로 비약물적 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Ⅰ수준의 Randomized Control Trial (RCT)이며 결과변수로 표준화된 평가도구를 사용한 연구를 선정하였다. 자료수집 및 분석 : 문헌 선정은 두 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선정하였고, 일치되지 않는 사항에 대해서는 토의과정을 통하여 일치되는 하나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선정기준에 적합한 논문을 대상으로 Comprehensive Meta-Analysis 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표준화된 평균차를 사용한 효과크기를 산출하였으며, 대상 논문들의 통계적 이질성, 민감도, 출판편의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선정된 총 9편의 연구 중 참여자는 총 6,726명 이었고 효과크기는 삶의 질 0.24, 심리사회 기능 0.35, 알코올 소비량0.31이었다. 심리사회기능과알코올소비량의효과크기는통계적으로유의한수준이었고(p<.001),“ 작은 효과크기”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통계적 이질성 검사에서 유의한 이질성과 출판편의는 없는 것으로 간주되어 본 연구 결과는 신뢰할 수 있음을 뒷받침해 준다. 결론 : 알코올 중독자에게 실시하는 비약물적 치료 프로그램은 심리사회 기능, 알코올 소비량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정신보건 분야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들을 위해 알코올 중독자의 효과적인 치료 개입을 위한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nonpharmacological treatment programs for alcohol addiction on quality of life, psychosocial functionality, and a reduction of alcohol consumption through a meta-analysis. Search strategy : Data were collected from online search engines using search words from domestic and foreign article databases, and from a manual search from related journals. Selection criteria : The study employed Level I Randomized Control Trial (RCT) nonpharmacological treatment programs for alcohol addiction from 1990 to May 2011, and selected articles that utilized standardized assessment instruments to measure the relevant dependent variables.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 Two researchers carried out the literature selection independently and reached an agreement through a discussion when in disagreement. The effective size with the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a heterogeneity test, a sensitivity test, and a publication bias test upon the selected articles was determined using the Comprehensive Meta-Analysis 2.0 program. Results : There were a total of 6,726 participants in the 9 selected articles. The effective sizes for quality of life, psychosocial functionality, and alcohol consumption were 0.24, 0.35, and 0.31 respectively. The effective size of psychosocial functionality and alcohol consump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01), which demonstrates a “small effect size”. This result is reliable, as significant statistical heterogeneity and publications bias were not found. Conclusion : Nonpharmacological treatment programs for alcohol addiction proved to be effective for psychosocial functionality and alcohol consumption. This can be utilized effectively in evidence-based occupational therapy for individuals with alcohol addiction by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mental health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