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잔골재 종류 및 치환율에 의한 속경성 폴리머 모르타르의 재료 특성 KCI 등재

Material Properties of Fast hardening Polymer Mortar by Fine Aggregate Types and Replacement Rati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940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초록

급속공사 현장에 사용되는 속경성 보수모르타르의 내구성능 증진을 위해 사용재료의 물리적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염화물 확산 억제 성능을 보유한 페로니켈 수쇄슬래그 잔골재와 급결제, EVA계 폴리머를 모르타르에 치환시켜 급결성능과 기초적 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FNS잔골재 및 RS잔골재 사용에 따른 압축강도, 휨강도, 부착강도가 증가되었다. 속경성 폴리머 모르타르의 염화물 이온 촉진시험의 결과 FNS를 50%이하 사용 시 재령 7일에서 재령 28일간 염화물 억제 성능이 유지되었으며, FNS잔골재 및 RS잔골재 사용에 따른 내구성 저하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건축 및 토목용 대체골재로 사용하는데 경제성 및 장기 내구성에 대한 추가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hysical performance of use materials was evaluated to improve durability of fast-paced repair mortar used at rapid construction sites. The fastening performance and basic performance were evaluated by substituting ferronickel grinding slag residues, rapid settlement, and EVA-based polymer for mortar. As a result, the compressive strength, flexural strength and adhesion strength were increased due to the use of FS Fine Aggregate and RS Fine Aggregate. The chloride ion promotion test of fast-polymer mortar kept the chloride inhibitory performance from 7 days to 28 days when fNS was used less than 50%. Durability degradation due to the use of FS Fine Aggregate and RS Fine Aggregate has not been found, and it is believed that further consideration of economic and long-term durability will be required for use as alternative Aggregate for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목차
Abstract
1. 서 론
2. 실험계획 및 방법
    2.1 사용재료
    2.2 실험계획
    2.3 실험방법
3. 실험결과 및 고찰
4. 결 론
References
요 지
저자
  • 신승봉(충남대학교 건축공학과) | Seung-Bong Shin
  • 김규용(충남대학교 건축공학과) | Gyu-Yong Kim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남정수(충남대학교 건축공학과) | Jeong-Soo Nam
  • 신경수(충남대학교 건축공학과) | Kyoung-Su Shin
  • 이보경(경북대학교 지능형건설자동화연구센터) | Bo-Kyeong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