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의 중요고전인 「적천수」는 명리연구가들에 의하여 다수의 주석서가 지어졌다. 명사「예문지」에 그 서목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명대 또는 그 이전에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간결한 시결의 형태였던 원문에 최초의 주석(「 원주」)이 나타났고, 청대이후에 일군의 명리학자들이 주석서를 지었으니, 임 철초의 주석을 담은 적천수천미가 그중의 하나이다. 풍부한 설명과 사주의 예시를 담았던 임철초의 주석은 근현대의 명리연구가들이 적천수를 이해하 는데 지대한 공헌을 했다. 그러나 임철초의 주석에서 일부의 용어의 개념이 혼란하여 사용된 정황이 있 었다. 본 논제인 적천수천미의 「형상」장에서 주요하게 등장하는 용어가 「형 상」장이외의 용례와는 다르게 활용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논자는 여타의 곳에서 사용된 그 용어의 용례를 기반으로 하여 논란의 「형상」장의 용어개념 을 새로이 정의하여 재해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재해석한 내용을 기반으로 하 였을 때 임철초주석의 내용이 전체적으로 소통하여 일관성을 확보할 수 있었 으며, 「형상」장의 원문의 의미를 되살릴 수 있었다. 아울러 명리학자들이 주지하다시피 명리학의 고전을 연구하는데 고전과 고전 또는 이론과 이론 사이에 상호 교차하여 점검해보는 방식은 중요한 문 헌연구방법의 하나일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으로 하여 재해석하였을 때 적천수내부의 이론적 맥락에서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었고 나아가 여타 명 리학고전과도 학론을 상통할 수 있었다. 본 연구 발표가 명리연구가들에게 고 전을 바라보는 안목과 해석하는 관점을 고양시키는데 보탬이 되었으면 한다. 주제어: 명리학, 적천수, 형상, 형상론, 화신, 화상, 화기, 양신성상.
Benign fibro-osseous lesions are demonstrated as a group of conditions, which normal bone is replaced by a connective tissue matrix that gradually develops cemento-osseous tissue and include developmental lesion, reactive lesion, dysplasia and tumor. Cemento-osseous dysplasia is one of benign fibro-osseous lesions, which is non-neoplastic process. Histologic features of cemento-osseous dysplasia are admixtures of bone and cementoid materials in a fibrous stroma. Cemento-osseous dysplasia associated with traumatic bone cysts has infrequently been reported. Traumatic bone cyst is a pseudocyst that may befound in both the jaws and the long bones. Though blockage of interstitial fluid drainage orvenous obstruction may be the cause of traumatic bone cyst, the exact pathogenesis of traumatic bone cysts is unknown. Melrose et al. was the first to report association of cemento-osseous dysplasia and traumatic bone cystsin their series. It is assumed that different mechanism is involved in cyst formation in these cases. This report presents review of literature and describes a case of focal cemento-osseous dysplasia associated with traumatic bone cyst of the mandible and its surgical trea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ichthyofauna between the eelgrass bed waters located in the open sea and the nearby sea free of eelgrass, and this study collected a total of 26 species. Comparing the fish collected on the eelgrass bed (St.2) of Geomun–do coast with the fish collected on the coastal waters (St.1) void of the nearby eelgrass bed, the fish collected from the eelgrass bed included 19 species, 413 individual with 16,110.6g in weight while the fish collected from the coastal waters void of the eelgrass bed included 19 species, 290 individuals with 12,961.5g in weight. Accordingly, it was found that the population size and biomass of the fish collected from the eelgrass bed were higher than the coastal waters void of the eelgrass. This study could identify that diversity, richness, evenness index except dominance were also much higher even in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급속공사 현장에 사용되는 속경성 보수모르타르의 내구성능 증진을 위해 사용재료의 물리적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염화물 확산 억제 성능을 보유한 페로니켈 수쇄슬래그 잔골재와 급결제, EVA계 폴리머를 모르타르에 치환시켜 급결성능과 기초적 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FNS잔골재 및 RS잔골재 사용에 따른 압축강도, 휨강도, 부착강도가 증가되었다. 속경성 폴리머 모르타르의 염화물 이온 촉진시험의 결과 FNS를 50%이하 사용 시 재령 7일에서 재령 28일간 염화물 억제 성능이 유지되었으며, FNS잔골재 및 RS잔골재 사용에 따른 내구성 저하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건축 및 토목용 대체골재로 사용하는데 경제성 및 장기 내구성에 대한 추가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α형 반수석고는 생산방법이 복잡하고, 대량 연속 생산이 곤란하며, 재료 단가가 높기 때문에 건설재료로써 활용범위가 크지 않았으 나, 최근 화력발전소의 배연탈황석고를 활용하여 경제적으로 α형 반수석고를 제조하는 기술이 실용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응결 시 작 시간이 빠르고 재령 초기 팽창변형이 발생하는 α형 반수석고의 특징에 주목하여, α형 반수석고를 10, 20, 30 wt.% 치환한 보통포틀랜드시멘 트 및 고로슬래그시멘트 모르타르를 제조한 후 응결 및 압축강도 특성, 건조수축을 검토하였다. 실험 결과, α형 반수석고의 치환율이 증가할수 록 보통포틀랜드시멘트 모르타르 및 고로슬래그시멘트 모르타르의 초결시간이 빨라지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보통포틀랜드시멘 트 모르타르와 고로슬래그시멘트 모르타르 모두 α형 반수석고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보통포틀랜드 시멘트보다 고로슬래그시멘트에서 α형 반수석고의 압축강도 발현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α형 반수석고를 치환한 모르타르의 경우 α형 반수석고의 혼입에 의해 생성된 에트링가이트 침상결정의 성장압에 의해 초기재령에서 수축변형이 저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초 기 재령에서 수축변형의 억제 효과는 분명하지만, 재령이 지남에 따라 α형 반수석고를 치환하지 않은 조건과 변형의 차이는 다시 감소하는 경 향을 보였다. 따라서 α형 반수석고를 모르타르에 적용할 경우 강도는 다소 저하하지만, 응결 촉진 및 수축변형 억제에 큰 효과가 있기 때문에 건설재료로써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슬래그를 다량 치환한 콘크리트의 동결융해 저항성능에 미치는 미세공극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콘크리트는 용선예비처리슬래그가 포함된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0, 40, 70 % 치환하여 제조하였으며 압축강도 특성 및 동결융해 저항성능과 미세공극을 검토하였다. 또한 설계기준강도와 목표공기량을 설정하고, 동결융해 작용에 따른 열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재령 14일의 낮은 압축강도로 인한 내력저하를 유도하였다. 실험결과, 설계기준강도를 유사하게 설정하고 목표공기량을 확보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콘크리트의 미세공극 분포가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GGBS70 시험체는 동결융해를 받지 않은 초기 0사이클에서 10~100 nm 크기의 공극량이 가장 적어 공극 내 동결할 수 있는 물의 양이 적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이유로 다른 시험체에 비해 동결팽창압력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동결융해 저항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it evaluates autogenous Shrinkage of high strength concrete with polymix fiber and type of aggregate. Consequently, When concrete is mixed with limestone aggregate and spalling prevention fiber, Compressive strength, modulus of elasticity and autogenous shrinkage was be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