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초등학교 아동의 놀이대상과 놀이유형별 소요시간이 친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Influence of Play Mate, Play Type and Play Time on Child’s Social Skill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942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는 아동의 놀이 대상과 놀이의 유형별 소요시간이 사회성 발달의 기본이 되는 친사회적 기술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전남지역 초등학교에 다니는 4학년, 5학년, 6학년 아동 172명이다. 아동의 놀이와 친사회적 기술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기초로 설문 문항을 작성하였고 아동의 친사회적 기술의 측정은 MESSY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 대상에 따른 친사회적 기술은 놀이대상이 친구나 가족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가족 중 어머니와 함께 놀이하는 아동보다 아버지와 많이 놀이하는 아동의 친사회적 기술이 높았다. 둘째, 놀이가 직업탐색에 영향을 주는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한 아동의 경우가 친사회적 기술이 더 높았다. 셋째, 아동이 가장 많이 하는 놀이유형은 주중과 주말 모두 미디어놀이이며 다음으로 야외활동놀이, 사교놀이, 오락놀이, 취미교양놀이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중에 비해 주말에는 미디어놀이, 사교놀이, 야외활동놀이를 더 많이 하였다. 넷째, 주말에 하는 놀이유형별 놀이시간은 아동의 친사회적 기술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SNS나 컴퓨터, 핸드폰, 게임, TV보기와 같은 미디어놀이에 보내는 시간이 많을수록 친사회적 기술은 낮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children's play mate, play types and play time on social skills. The study targets 172 children from fourth to sixth grade who live in Jeollanam-d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skills between playing with friends, playing with family members. However, Social skills were higher when playing with the father than playing with the mother Second, Social skills were high in children who perceived that play time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earch for development and aptitude., The children spend time in the order of hobby play, amusement play, social play, outdoor play, and media play. The most common thing on both weekdays and weekends was media play.The more time spent on media play such as SNS, computers, cell phones, games, and TV viewing, the lower the social skill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및 분석방법
Ⅲ. 결과 및 해석
    1. 아동의 놀이 대상과 친사회적 기술의 차이
    2. 아동의 놀이가 직업탐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3. 아동의 주중 및 주말의 놀이 유형별 놀이시간
    4. 아동의 놀이 유형별 놀이시간이 친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김정화(목포대학교 아동학과) | Kim Jeong Wha (Department of Child Studies, Mokpo University)
  • 김갑순(세한대학교 유아교육과) | Kim Kab Soo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eha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