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nalysis of Eye Movement Trend induced by Video Viewing KCI 등재

영상 시청에 의해 유발된 안구운동 경향 분석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135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 영상의 특성이 안구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아이트래커를 이용하여 안구움직임을 측정 하였다.
방법 :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하는 성인남녀 64명(24.44±3.68세)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재생시간이 30분인 4개의 영상물을 시청하도록 하고 아이트래커를 이용하여 눈깜박임 횟수, 동공직경, 주시 횟수 및 홱보기 횟수를 측정하였다. 피사체 움직임의 정도가 서로 다른 2개의 영상물(액션 및 토론)을 고화질 및 표준화질로 각각 제작하여 상대적 움직임 및 화질의 차이를 구분하였다.
결과 : 액션 영상을 시청할 때 토론 영상의 시청과 비교하여, 동공직경이 더 컸고(p<0.050), 눈깜박임 횟수는 더 적었고(p<0.050), 주시 횟수는 더 많았고(p<0.050), 홱보기 횟수는 더 많았다(p<0.050). 그러나 화질에 따른 안구 움직임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영상의 종류에 따라서 눈깜박임, 동공직경, 주시 횟수 및 홱보기 횟수의 차이를 발견하였다. 따라서 영상의 특성이 안구운동 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o analyze the effect of video characteristics on eye movements, by using the eye movement tracking device (eyetracker). Methods : Sixty four adult males and females(22.44±3.68 yr) who agree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recruited. The subjects viewed 4 videos with a playback time of 30 min and the counts of eye blinking, fixation, saccade, and pupil diameter was measured by using the eye movement tracking device (eyetracker). Two different videos (action and discussion) in relation to movement of objects were produced with high and standard definition, to distinguish the relative movement and resolution quality. Results : When viewing action images, compared to viewing discussion images, the pupil diameter was larger(p<0.050), the number of blinks was lower(p<0.050), the number of fixation was higher(p<0.050) and the number of saccade was higher(p<0.050).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ye movement according to resolution quality. Conclusion : We found that the diameter of pupil, the numbers of blinking, fixation and saccade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viewing content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ewing contents affect the factors related to eye movement.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대상
    2. 영상물 시청조건
    3. 디스플레이와 영상물
    4. 안구움직임의 측정
    5. 통계분석
Ⅲ. 결 과
    1. 시청시간 별 동공직경 변화
    2. 시청시간 별 눈깜박임 횟수 변화
    3. 시청시간 별 주시 횟수 변화
    4. 시청시간에 따른 홱보기 횟수 변화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요 약
저자
  • Kyoung-Seop Lee(을지대학교 대학원 안경광학과) | 이경섭
  • Ki-Choong Mah(을지대학교 안경광학과) | 마기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