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 Survey of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to Gardening in Korea KCI 등재

국내 가드닝 관련 교육프로그램 현황 분석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222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국내 가드닝 관련 교육프로그램 현황 분석을 위해 ‘가든’, ‘가드닝’, ‘가드너’, ‘정원’, ‘정원사’ 등의 관련 키워드가 프로그램 명, 활동, 유인물 등에 사용된 프로그램과 수목 원·식물원 전문 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모두 조사하였다. 국내에서 2017년과 2018년에 운영된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 결과, 54개의 주관기관에서 83개의 가드닝 관련 프로그램이 운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기관 중에 지자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39기관, 72.2%), 이외에는 사립 수목원·식물원(6개, 11.1%), 공립 수목원·식물원(5개, 9.3%), 국립 수목원·식물원(2개, 3.7%), 사기업(1개, 1.9%), 대학교 (1개, 1.9%) 순으로 나타났다. 83개의 가드닝 관련 프로그램 은 63개의 운영기관에서 수행되었다. 운영기관 중 12개의 기관은 대학교로, 대학교에서 지자체의 프로그램을 위탁받아 운영했음을 알 수 있다. 가드닝 관련 프로그램은 경기도(50개, 61.4%)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가드닝 관련 프로그램 중 성인이 참가 가능한 프로그램(64개, 63.4%)이 가장 많았으며, 전체 프로그램 중 65개(78.3%)는 전문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민들의 자연, 숲, 정원에 대한 관심 증대와 지속적인 국가적 정원 분야의 확대가 예상됨에 따라 더 많은 가드닝 관련 프로그램 제공을 통해 다양한 경험의 기회를 주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study investigated two types of programs for analyzing the status of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garden-related in Korea: (1) all programs that use gardenrelated keywords in the program name, activities, handouts, etc. such as garden, gardening, gardener and (2) program to train experts in arboreta·botanical gardens. These programs were in operation from 2017 to 2018 in Korea. Based on this survey, it was found that 83 garden-related programs were organized by 54 host institutions. In host institutions, local government accounted for the largest number (39 institutions, 72.2%), followed by private arboretum·botanic garden (6 institutions, 11.1%), public arboretum·botanic garden (5 institutions, 9.3%), national arboretum·botanic garden (2 institutions, 3.7%), private enterprise (1 institution, 1.9%), and university (1 institution, 1.9%). 83 garden-related programs were executed by 63 executing institutions. 12 of the executing institutions were universities, indicating that universities commissioned programs from local governments. Garden-related programs were the most distributed in Gyeonggi-do (50 programs, 61.4%) among regional distribution. Among the garden-related programs, there were the most programs for adults (64 programs, 63.4%). 78.3% (65 programs) of garden-related programs were available to professionals education. As people are expected to increase their interest in nature, forest, garden and continue to expand the garden sector n ationally, various e xperiences s hould be p rovide through the provision of more garden-related programs.

목차
Abstract
서 언
연구방법
    연구대상
    연구방법
    프로그램 대상 구분을 위한 기준 설립
결과 및 고찰
초 록
저자
  • Do Lee Yun(국립수목원 수목원과) | 윤도이
  • Mi Jeong Yoon(국립수목원 수목원과) | 윤미정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