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

        1.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곤충호텔은 곤충이 서식할 수 있도록 인위적으로 만든 구조 물로서 정원이나 텃밭 등 다양한 곳에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식생유형, 재료, 설치 방식 등에 따른 곤충 유입 효과에 대한 검증은 부족하며, 국가 또는 지역에 따른 곤충의 종류와 생육환 경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곤충호텔에 대한 국내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립수목원을 대상으로 구체적 인 식생유형 및 재료에 따른 유입 곤충 특성을 확인하고, 국내 실정에 맞는 효과적인 곤충호텔 설치 및 관리방안에 대한 기준 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구는 세 가지 식생유형(초지, 침엽수 림, 활엽수림)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식생의 조사구에 두 가지 재료(참나무, 잣나무)를 활용한 곤충호텔을 설치하였다. 조사는 2년동안(2022~2023) 진행되었으며, 매년 4~9월까지 주 1회 씩(총 48회) 곤충호텔의 유입 곤충을 직접 채집하였다. 곤충호 텔에서 채집된 곤충은 총 9목 46과 129종 3,057개체로, 2022 년에는 7목 34과 85종 1,750개체, 2023년에는 8목 35과 77종 1,307개체가 출현하였다. 연도별로 비교하면 1차년도에 유입 된 곤충의 개체수가 2차년도 보다 약 1.3배 많았고, 재료의 부식 에 따른 곤충의 구성도 달라졌다. 식생유형에 따라 구분하면 기간에 상관없이 활엽수림에서 유입 곤충이 가장 많았고, 침엽 수림에서 가장 적었다. 또한 재료에 따른 구분에서는 참나무가 잣나무보다 유입 곤충이 많았다. 참나무의 경우 유입 곤충의 연도별 차이가 적은 반면, 잣나무는 1년차에 비해 2년차에 약 2.3배 줄었다. 상관분석과 계층적 군집분석을 통한 곤충의 유입 특성은 식생유형보다는 재료의 영향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고, 식생유형만 비교했을 경우 초지에 비해 활엽수림과 침엽수림의 유사성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생물 다양성 증진을 목적으로 곤 충호텔을 설치하고자 한다면 초지나 활엽수림에 참나무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며, 잣나무 재료를 이용한다면 1년 주기로 재료 교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특정 재료를 선호 하는 곤충의 기주특이성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재료를 같이 사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향후 이를 기반으로 전시원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곤충호텔 모델 개발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4,300원
        2.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립수목원 전시원의 지속가능하고 친환경적인 관리를 위하 여 유기물 멀칭재 처리에 대한 잡초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대표적 잡초인 쑥군락과 바랭이군락을 대상으로 고정방형구 (1×1㎡)를 3반복 설치하였다. 처리구의 유기물 멀칭재는 5가지 재료로 활엽수 우드칩, 침엽수 바크, 갈참나무 낙엽, 메타세쿼이 아 낙엽, 칠엽수 과피를 사용하였다. 멀칭재 중에서 갈참나무 낙엽, 활엽수 우드칩, 칠엽수 과피가 비교적 잡초 억제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갈참나무 낙엽은 지중 온도를 낮게 유지 하는 효과가 상대적으로 좋았기 때문에 토양의 보습 효과가 뛰 어날 것으로 판단된다. 유기물 멀칭재 처리는 일년생식물의 발 생은 억제하고, 지중식물 및 반지중식물의 생육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었다. 멀칭재의 무게보다 재료에 의한 빛 차단 면적이 잡초를 억제하는 주된 요인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국립수목원 전시원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활용한 친환경적 관리 방안 수립 에 활용될 것이며, 향후 잡초의 발생 시기에 따른 멀칭 시기 및 유기물 멀칭재의 유지 관리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4,300원
        3.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립수목원 내 전문전시원에 발생한 이입식물을 대상으로 2015년부터 2023년까지 이입식물 분포조사를 시행 하였다. 그 결과 자생식물 299종, 귀화식물 49종, 재배식물 13 종 총 63과 214속 361종이 조사되었다. 국화과가 63종으로 가장 많았고, 벼과, 사초과 순으로 발생하였다. 이입식물의 이입 경로를 분석하기 위하여 광릉숲에 분포하는 식물상과 비교 분석 한 결과 309종이 광릉숲에 분포하는 식물로 확인되었으며, 전 문전시원 내 식재 식물이 확산된 경우가 17종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된 귀화식물 49종을 원산지별로 구분하면 유럽과 북아메리카가 69.4%, 이입 시기별 1기와 3기의 비율이 90%를 차지하였 다. 귀화식물의 귀화도 분포 등급을 적용한 결과 4등급 이상이 면서 이입 시기가 3기인 식물 9종은 빠르게 확산할 우려가 큰 식물이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국립수목원에 어느 정도 귀화식물이 분포하는지를 가늠하는 도시화지수를 산출한 결과 15.0%로 나타났으며, 환경부 지정 생태계교란 야생식물 중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애기수영, 미국쑥부쟁이가 출현하였 다. 이입식물은 자생식물군락과 전문전시원 내 관람로에 침입하 여 세력권을 확장하고 우점하는 경향이 있어 각각의 생태적 특 성을 고려한 제거 방법이 필요하다.
        4,200원
        4.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Valgus Kolbe, 1909 is a small genus of Cetoniinae, with 20 described species worldwide. In Korea, only one species, Valgus koreanus Sawada, have been recorded. Species of this genus have been known that they are commonly associated with termite colonies. They feed on the wall of termite burrows in logs or standing dead trees. In this study, we report a new species of this genus, Valgus gwangneungensis sp. nov.. We provide a key to the species of Valgus, description of the new species and photographs of habitus and male aedeagus.
        5.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현재 기후변화 및 산업화 등으로 생물다양성 감소, 환경오염에 대한 위기가 확산되고 있어 지속가능한 미래설 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대표 도시숲인 국립세종수목원에 조성된 총 16개 전시원을 대상으로 총 6차례에 걸쳐 방문곤충과 화분매개곤충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조사시기별 분석결과로 2차(‘23.7.31) 조사 시기에 가장 다양한 종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총 80종), 전시원별 분석결과 숲정원에서 가장 다양한 종을 확인할 수 있었다(총 59종). 또한 주요 식물 6종(배롱나무, 나무수국, 무궁화, 좀개미취, 범부채, 부처 꽃)에 7~10월 기간 중 양봉꿀벌, 애황나나니, 호박벌, 네발나비, 호랑나비, 흰점박이꽃무지, 호리꽃등에, 배짧은 꽃등에가 화분매개 행동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표에서는 2023년 국립세종수목원 전시원 내 방문곤충 및 화분매개곤충 다양성 연구의 구체적인 결과를 제시하고, 곤충의 보전 필요성, 도시숲 내 체계적인 방문곤충 및 화분매개곤충 조사의 중요성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12.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 가드닝 관련 교육프로그램 현황 분석을 위해 ‘가든’, ‘가드닝’, ‘가드너’, ‘정원’, ‘정원사’ 등의 관련 키워드가 프로그램 명, 활동, 유인물 등에 사용된 프로그램과 수목 원·식물원 전문 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모두 조사하였다. 국내에서 2017년과 2018년에 운영된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 결과, 54개의 주관기관에서 83개의 가드닝 관련 프로그램이 운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기관 중에 지자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39기관, 72.2%), 이외에는 사립 수목원·식물원(6개, 11.1%), 공립 수목원·식물원(5개, 9.3%), 국립 수목원·식물원(2개, 3.7%), 사기업(1개, 1.9%), 대학교 (1개, 1.9%) 순으로 나타났다. 83개의 가드닝 관련 프로그램 은 63개의 운영기관에서 수행되었다. 운영기관 중 12개의 기관은 대학교로, 대학교에서 지자체의 프로그램을 위탁받아 운영했음을 알 수 있다. 가드닝 관련 프로그램은 경기도(50개, 61.4%)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가드닝 관련 프로그램 중 성인이 참가 가능한 프로그램(64개, 63.4%)이 가장 많았으며, 전체 프로그램 중 65개(78.3%)는 전문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민들의 자연, 숲, 정원에 대한 관심 증대와 지속적인 국가적 정원 분야의 확대가 예상됨에 따라 더 많은 가드닝 관련 프로그램 제공을 통해 다양한 경험의 기회를 주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13.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wangneung arboretum, affiliated to th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was established in 1987 and it became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KNA) in May 24, 1999. The entomological collection of KNA currently holds a total of 510,365 specimens of 6,849 species including more than 330 type specimens of Lepidoptera, Hemiptera, Hymenoptera, and Coleoptera are deposited. As the results of recent systematic studies by KNA entomologists, 67 new species were described, and 108 species were newly recorded from Korea and other countries. Not only we have conducted taxonomic studies but also have broaden our research boundary to natural enemy surveys for pine wilt disease vectors, plant and insect interaction, and exotic insect species monitoring. In this presentation, we would like to briefly introduce current entomological researches of KNA in the hope of future collaborations with other entomologists.
        15.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erambycidae, a family of Coleoptera (Insecta: Chrysomeloidea), include approximately 33,000 species from the world and 357 species are recorded from the Korean peninsula. The members of this family are regarded as insect pests because they bore inside of host plants, otherwise, some lepturine species are pollinators of flowering plants. In Korea National Arboretum (Korea Forest Service), we are carrying out investigation of cerambycids biodiversity in Korea and neighboring countries. As results, we present some results of studies on host plants of Korean Cerambycidae and further study plans in a new project, "interactions between phytophagous insects and plants including microorganisms" in Korea National Arboretum.
        16.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methods of enhancing arboretum’s competitiveness and suggest efficient ways in making other arboretum afterwards by grasping decision factors that make people visit an arboretum operating in Korea. For this study it was conducted monova and discriminant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 researched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visitor’s characteristic, and then found there are some differences only in revisitors, though other factors had nothing to do with results. The satisfaction of facility and tour effect is higher in revisitors compared with first visitors. In the gender aspect, women were satisfied with the distinctive things more highly than men among five lower factors of satisfaction. Also, in the age group aspect, the overall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in the scenary were ranked higher from 20 to 30 than from 40 to 50. The findings will provide imformation on the satisfaction of the arboretum visitors and enhance arboretum’s competitiveness.
        4,500원
        17.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Having conducted numerous research and survey projects, Korea National Arboretum (KNA) has been a centre for Korean insect diversity researches in South Korea for about a decade since its first step as the first national biological collection was taken in 2003. Those projects mainly focused on specimen collection through various surveys and classical taxonomic studies on rather limited taxa. Holding slightly more than 6,000 species in our collection now, we consider it is time to take another approach that will keep insect researches going and expanding its boundary although it seems a little bit late to follow an international trend. The approach we are about to follow is a DNA barcode blitz, which aims for rapid digitization and sequencing of insects. With an integrated system of insect taxonomy we may provide faster and more reliable identification service to the public and other related biological and ecological studies. Digitized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can be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forest insect pest monitoring, climate change related monitoring, and reverse taxonomic study.
        18.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inter phenology (diapause and activity) of insects is expected to change more greatly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seasons, because the temperature in winter increased higher than those in other seasons in the temperate regions. However, studies on changes of insect winter phenology due to climate warming are rare. It is expected that winter flights of flies (Diptera) will increase as climate warms. This study is aimed to predict the increase of fly winter flight according to temperature increase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light and temperature. The survey on flies and weather (temperature and rainfall) was carried out in the Hongneung arboretum in Seoul. Flies were collected weekly from December 2012 to February 2013 using sweeping and Malaise trap. In the survey, 106 flies belonging to 28 morpho-species and 17 families were collected. Richness and abundance of fli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mperature. The increase of fly winter flight (richness and abundance) was projected according to temperature rise using the regression models for relationships between the fly flights and temperature.
        19.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ere performed in Tropical Plant Resources Research Center of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to assess the effects of beneficial insects against Pseudococcus comstocki (Kuwana) on Phyllanthus acidus (Linnaeus) Skeels and Tetranychus urticae Koch on Acalypha wilkesiana Muell Arg. We investigated the density of leaf-feeding P. comstocki at intervals of approximately 2 weeks and T. urticae at intervals of approximately 1 weeks after introducing their natural enemies; Chrysoperla nipponensis (Okamoto) and Phytoseiulus persimilis Athias-Henriot. The densities of P. comstocki were suppressed 80.0% (after 4 weeks) and 97.5% (after 8 weeks) after introducing C. nipponensis. The densities of T. urticae were suppressed 84.1% (after 4 weeks) and 99.6% (after 6 weeks) after introducing P. persimilis.
        4,000원
        20.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새만금수목원은 새만금간척지의 농업용지 내 조성될 국가수목원으로 2025년 개원하는 면적 200ha의 해양기후대 해안·도서식물을 수집, 보전하는 세계 최대의 해안형 수목원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수목원조성대상지는 지리적으로 해양성 기후와 내륙기후의 기착지점으로 생물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복합적공간으로 여타수목원과의 차별성을 갖는 곳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논문은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이용하여 국가수목원 조성의 경제적 편익을 추정하고자 한다. 양분선택형모형을 적용한 결과 새만금수목원 조성을 위한 개인별 평균 지불의사액은 6,607원으로 추정되었으며, 이를 전국 시도별로 확장하면 연간 207억 원에 달한다. 이 정보를 이용하여 비용편익 분석을 수행하였더니 순현재가치, 편익/비용, 내부수익률은 각각 141.86억 원, 1.16, 7.48%로 계산되었다. 이 값은 각각 0, 1.0, 5.5%를 상회하므로 새만금수목원 조성사업은 경제적 타당성을 확보한다. 따라서 새만금수목원 조성 및 유지가 경제적으로 이익이 되며 사회적으로도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