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vine Imagery in Nature in the Book of Job and Babylonian Job
경건한 자의 고난을 다루고 있는 주전 10세기 이전의 고대 근동의 신정론적 시문학 작품인 욥기와 바빌로니아 욥기(“루드룰 벨 네메키,” “내가 지혜의 주를 찬양하리라”)는 고통과 버려짐, 탄식, 갈망, 회복과 찬양이라는 공통의 모티브를 갖고 있다. 욥과 숩시마쉬레삭칸은 자연물을 도입하여 다양한 수사학적 기교를 통해서 질병의 고통과 환자의 육체적-정신적 갈망, 신에 대한 이해를 운문형식으로 표현했다. 그들은 내용 전개에 천체, 지질, 해양, 광물, 기상과 기후, 동식 물, 미네랄, 유충, 인체, 발생학적 발전 단계와 관련된 자연물을 200가지 이상 사용했다. 자연비유를 통해 신과 인간의 다양한 모습을 드러낼 수 있다. 신은 사나운 사자와 날아간 새, 날려버리는 폭풍이 되기도 하고 고난 받는 자는 먹잇 감 동물, 구슬피 우는 비둘기, 낙엽과 마른 검불, 좀먹은 의복이 되기도 한다. 주 인공들은 자연을 통해 신의 지혜와 능력을 찬양한다. 두 작품은 자연을 통해 신의 초월성과 편재성/임재성에 대해 인식하게 하고, 고난에 대해 사색하게 함으로 영성 개발에 도움을 준다.
The Book of Job and The Babylonian Job (“Ludlul Bel Nemeqi,” “I Will Praise the Lord of Wisdom”) are the early poetic works of the ancient Near East before the second millennium century B. C. They deal with the topic of theodicy on pious sufferers. They have common motives of suffering, sighing, desire, recovery and praise. Job and Shubshi-meshre-Shakkan, the pious sufferers, took natural objects to express the suffering of the disease, the physical and mental craving of the patients, and their understanding of deity/deities in poetry by various rhetorical techniques. They used more than two hundred natural objects related to celestial bodies, geology, oceans, minerals, weather and climate, flora and fauna, and human bodies in their poems to portray the diverse aspects of deity/deities and human beings. Through natural analogy, the deity was imagined as a wild lion, a fleeing bird, a blowing storm, and the sufferers were figured as an animal being eaten, a ringing dove, flying leaves and dry stubble. The authors praised the wisdom and ability of their deity revealed in nature. These works help to develop spirituality. They reveal the farness and the nearness of deity. They provide comforts of heart in difficult t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