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친환경농산물가공식품 소비확대정책 선호도 분석 KCI 등재

An Analysis of Preference for Policy to Expand the Consumption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cessed Food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314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이 연구의 주 목적은 친환경농산물가공식품 구입경험이 있는 소비자의 개별 특성과 이 식품의 소비확 대 정책 선호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소비자를 대상으로 친환 경농산물 가공식품 소비실태를 조사하였고, 실증 분석을 위해 다항로짓모형(Multinominal logit model) 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인증제도 관리가 강화될 때 소비를 늘릴 의향이 있는 소비자는 인증마크를 확인하는 응답자, 상대적으로 건강에 유익할 것으로 인식하는 응답자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이 인하될 때 소비를 늘릴 의향이 있는 소비자는 친환경가공식품 가격이 높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들, 친환경 가공식품의 안전성에 만족하는 응답자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친환경농산물 가공식품 구매를 효과적으로 확대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소비자의 개별특성을 고려하여 맞춤형으로 정책을 추진하는 것은 유용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d purchas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cessed foods and policies enlarging the consumption of the foods. To accomplish the objective of the study, a consumer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multinominal logit model was employed for an empirical analysis on deter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policie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ose who have the intention to increase their consumption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cessed foods if the certification system is reinforced are ones who check certification marks or recognize that the foods are helpful to their health. And those who have the intention to increase their consumption if the price is lowered are ones who think that the price is high or are satisfied with the safety of the foods. Therefore, carrying forward policies consider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would be useful to increase the consumption of the foods.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연구재료
    2 연구방법
결과 및 고찰
    1 소비자 설문조사 결과
    2 실증분석 결과
References
저자
  • 정학균(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림산업정책연구본부) | Hak-Kyun Jeong (Department of Agriculture Food and Forestry Policy Research,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 한재환(순천대학교 농업경제학과) | Jae-Hwan Han (Department of Agricultural Economic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