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역 유산기(國譯 遊山記)를 통해 본 조선 지식인의 산림휴양문화 KCI 등재

Joseon Intellectuals’ Forest Recreation Culture Reflected in Korean Translation of Yusangi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317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국역 유산기 분석을 통하여 전통사회의 지식인들의 산림휴양문화를 조명하였다. 국역 유산기에 실린 유산기 99편을 6하 원칙에 의거 분석하여 조선시대의 산림휴양문화의 주체, 시기, 장소, 동기 등을 밝혔으며, 유산기 내용분석을 통해 산림휴양 주체들의 행위를 인간의 오감 기준으로 분류하고, 그 결과를 감성적, 이성적 변화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조선시대 지식인들은 주로 20~30대의 젊은 시기와 나이든 50대 후반 이후 노년의 시기에 행한 유산활동이 많았으며, 계절적으로는 주로 봄과 가을에 산수자연에서 유산활동을 즐겼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선 지식인들이 찾은 산수자연은 전국적으로 유명한 명산을 포함하여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의 산 등이 골고루 분포하고 있었다. 그 이유로는 첫째, 평소의 산수 경관의 감상과 유람에 대한 욕구 둘째, 지인의 권유와 약속 셋째, 심신수양과 휴식과 위로를 얻기 위해 넷째, 관리로서의 부임지에서 근처 지역에 대한 산수유람에 대한 욕구 순으로 나타났다. 유산기를 통해서 본 조선 지식인들의 가장 많은 행동은 시각적 행동으로서 경관 감상이었다. 결론적으로 전통 사회인 조선시대에는 산림휴양문화, 즉 산수자연에 대한 유람이 학문의 연마와 심신수양의 보편적인 문화로 받아들여졌으며 조선시대 지식인들의 산림휴양 활동은 오늘날 휴양 프로그램에 반영할 수도 있는 고급 휴양문화 행위라는 것이다. 또, 산수자연에서 다양한 경험을 체득하여 감성적 이성적 깨달음으로 승화하는 지식인의 모습을 통해 오늘날 우리의 전통적 산림휴양문화의 원류와 현대적 계승의 요소를 발견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forest recreation culture of intellectuals in traditional Korean society through analysis of Korean translation of Yusangi. Ninty nine Yosangi in Korean translation of Yusangi were analyzed according to 5W1H to explore main subjects, time, location and purpose of forest recreation culture in Joseon. In addition, through contents analysis of Yusangi, forest recreation subjects’ activities were categorized based on five human senses, and the findings were organized as emotional and rational changes. Joseon intellectuals were found to have recreational activities when they were young in 20s and 30s, or older in after late 50s. As for season, their recreational activities were found to focused on Spring and Autumn. They visited diverse locations including nationally famous mountains and local mountains in their areas. Main reasons of the forest recreation activities were first, their usual needs to appreciate and tour nature landscape; second, recommendation from acquaintances and/or appointment with them; third, their needs of physical and mental development, relaxation and comfort; and fourth, their needs to look around areas surrounding their new posts as officers, in the order. Most frequent activity of Joseon intellectuals reflected in Yusangi was appreciation of landscape as a part of visual activities. In conclusions, forest recreation culture was found to be considered as typical culture for study and physical and mental development in Joseon. Also, forest recreation activities of Joseon intellectuals was a fine culture that could be reflected to recreation programs nowadays. Finally, sources of traditional forest culture and elements for modern succession were discovered.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이론적 고찰
    2.1 조선시대 유람(遊覽)과 유산기
    2.2 연구사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3.2 6하원칙에 따른 분석
4. 결과 및 고찰
    4.1 산림휴양의 주체(Who)
    4.2 산림휴양의 시기(When)
    4.3 산림휴양의 장소(Where)
    4.4 산림휴양의 동기 및 목적(Why)
    4.5 산림휴양의 활동(What)
    4.6 산림휴양의 결과; 감성과 이성의 변화(How)
5. 결론
References
저자
  • 김우열(충북대학교 대학원 산림치유협동과정) | Wooyeol Kim (Dept. of Forest Therapy, Graduate School,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박봉주(충북대학교 원예과학과) | Bongju Park (Dept. of Horticultural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