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친수공간 이용 활성화를 위한 계획연구의 일환으로 수변공간의 복합적이고 다 기능적 이용에 초점을 두었다. 계획대상지인 하단 포구는 역사성과 잠재적 가치를 가졌으나, 현재 낙동강으로부터 시각적으로 단절되었고 도시에서의 잃어버린 공간(Lost space)으로 전락하여 수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상실하였다. 따라서 연구의 접근은 그린 인프라적 환경 재생을 통하여 수변 공공거점으로 이용가치를 증대하고, 친수공간으로서 코어의 역할 수행을 위한 물리적 환경 개선 계획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수변공간의 자원화 및 거점 마련을 위한 ‘공간에 대한 장소성 창출’, ‘포구 환경정비 및 재생’, ‘접근체계 차별화 및 네트워킹’ 등에 중점을 두어 기본계획을 수립하였으며 결과의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에 대한 장소성 창출은 즉 ‘하단 포구를 어떻게 명소화할 것인가’로 귀결된다. 따라서 장소성 창출은 외부로부터 경관 랜드마크(유리가벽)를 통하여 공간을 인지하게 하였고, 내부에서의 전달은 낙동강에 대한 인지적 방향성과 그에 대한 가상경관을 시각 자원(미디어 스크린)을 통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포구 환경에 대한 정비는 기존 어민의 작업환경을 개선함과 동시에 방문객의 여가활동을 수용하기 위한 중의적 공간 계획을 제시하였다. 신규시설 도입을 지양하며, 2차원적 평면계획(포장패턴)을 통하여 활동영역에 대한 암시성을 제시하였으며 지역축제 프로그램 등에 대비한 탄력적 운영을 유도하였다. 셋째, 하단 포구의 이용 활성화는 보행 접근성 향상을 통한 수자원의 이용과 활용에 중점을 두었다. 이에 따른 주요 계획으로는 녹지 축의 연속성 확보, 진출입부 환경 개선, 시각적 개방성과 연속성 확보 등이 해당한다. 본 연구 결과는 그린 인프라적 환경 재생을 통하여 하단 포구에 대한 수변 공공거점으로서 현실적인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는 미시적으로 생업을 위한 효율적 환경개선과, 여가 및 탈 일상적 경험에 대한 이용 가치를 제공할 것이다. 아울러 친수공간으로서 도시발전 및 지역 정체성 확립을 위한 기반시설의 환경개선 사례로서 그 역할을 기대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explores approaches to use water-side spaces in complex and multiple ways as a part of planned research to promote the use of waterfronts. Although Hadan Port, the subject area of this study, has a historic value and a potential, it is currently disconnected from Nakdong River visually and has forgotten from the city to become a lost space, losing its value as a water resource.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its value as the foothold of the public sphere through environmental regeneration as a green infrastructure and develop a physical environment plan in order to enable the port to carry out the key roles as waterfronts. A basic plan to conduct the study was developed by focusing on issues that should be tackled to utilize waterfronts and provide the foothold including ‘creating placeness about the space’, ‘environmental arrangement and regeneration of port’, and ‘differentiation of access system and networking’ an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reating a sense of place or its recognition depends on the matter of how to make ‘Hadan Port attractive’. To this end, a method to install landmarks (glass walls) for landscape was considered so that people can recognize the space from the outside and an option to provide cognitive direction towards Nakdong River and its virtual scenery (via media screen) was proposed for the delivery from the inside. Second, dual approaches were applied to the spatial plan with regard to the arrangement of port environment in order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of fishermen and contain leisure activities for visitors at the same time. To be specific, we refrained from adopting new facilities and proposed potential operating areas through 2-dimensional planning (pavement patterns), and intended flexible operation of local festivals and other programs. Third, the use and utilization of water resources were emphasized again by improving accessibility to the port to promote its use. Such plans include guarantee of green network, improving the environment nearby the entrance, and ensuring visual openness and continuity, etc. The result o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a development possibility of Hadan Port to serve as public bases in practice through environmental regeneration that is considered as a green infrastructure. Based on this, Hadan Port can be used in improving the environment effectively for the livelihood of local residents and providing leisure and unusual experiences to visitors.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Hadan Port can fulfill its role as a case study indicating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basic facilities for urban develop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regional identity as a waterfront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