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에 유통되는 두족류 제품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문어와 오징어로 표기되어 판매되는 28개 제품을 대상으로 DNA 바코드를 분석하여 원재료의 종을 동정하였다. DNA 바코드 증폭을 위하여 미토콘드리아의 16S ribosomal RNA 및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유전자 부위를 증폭하는 두 종류의 프라이머 세트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증폭된 PCR 산물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확보한 염기서열은 ‘BLAST Search’를 이용하여 미국국립보건원 GenBank에 등록되어있는 생물 종의 염기서열과 비교하여 유사도와 매칭 점수를 고려하여 최종 종을 동정하였다. 동정결과, 원재료를 오징어로 표기 한 12개 제품은 아메리카대왕오징어(Dosidicus gigas, n=3),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 n=9) 종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문어를 원재료로 표기한 16개 제품의 경우, 6개 제품에서 대만주머니낙지(Cistopus taiwanicus, n=1), 하이야주 꾸미(Amphioctopus marginatus, n=1), Scaeurgus unicirrhus (n=1), 아메리카대왕오징어(Dosidicus gigas, n=3)로 동정되어 표기된 원재료와 불일치하였으며, 이 중 3개의 제품은 알레르기 유발 원재료인 오징어가 사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Cephalopod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fishery resources in the world because of their desirable taste and nutritional value. In south Korea, one of the countries in which a large amount of seafood is consumed, cephalopods (e.g., octopus, squid, and cuttlefish) have an annual consumption rate of over 400,000 metric tons. In this study, octopus and squid products (n=28) sold on the market were monitored by analyzing sequences of DNA barcode markers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and 16S ribosomal RNA genes). For species identification, the NCBI BLAST database was screened with the sequences and analyzed as a query. In this BLAST search, twelve squid products showed 99-100% sequence identity to Dosidicus gigas (n=3) and Todarodes pacificus (n=9). In the case of the other 16 products that were declared using octopus as raw materials on the labels, six products were identified as Cistopus taiwanicus (n=1), Amphioctopus marginatus (n=1), Scaeurgus unicirrhus (n=1), and Dosidicus gigas (n=3). Monitoring results indicated that a significant percentage (37.5%) of mislabeling was present in octopus products sold on the South Korean mark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