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광 추적 시뮬레이션에 의한 시간 별 파프리카의 수광 및 광합성 속도 분포 예측 KCI 등재

Time Change in Spatial Distributions of Light Interception and Photosynthetic Rate of Paprika Estimated by Ray-tracing Simul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347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작물의 일중 광합성량을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해서는 일중 태양의 위치 변화에 따른 작물의 정확한 수광량 변화를 정확하게 예측해야 한다. 그러나, 이는 많은 시 간, 비용, 노력이 소요되며, 측정의 어려움이 수반된다. 현재까지 다양한 모델링 기법이 적용되었으나 기존 방식으로는 정확한 수광 예측이 어려웠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파프리카의 3차원 스캔 모델과 광학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일중 시간 별 캐노피 수광 분포와 광합성 속도의 변화를 예측하는 것이다. 휴대용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여 온실에서 재배되는 파프리카의 구조 모델을 구축하였 다. 주변 개체의 유무에 따른 캐노피 수광 분포의 변화를 보기 위하여 작물 모델 별 간격을 60cm로 1×1, 9×9 정 방형 배치하여 광학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광합성 속 도는 직각쌍곡선 모델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3차원 파 프리카 모델 표면의 수광 분포는 오전 9시, 정오, 오후 3 시의 태양 각도에 따라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캐노피 총 수광량은 9×9 배치로 주변 개체 수가 늘어남에 따라 감소하였고, 태양 고도가 가장 높은 정오에서의 감소율이 가장 적었다. 캐노피 광합성 속도와 CO2 소모량 역시 수 광량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나 작물 상단부 엽의 광합 성 속도 포화로 인해 수광량 변화에 비해 적은 감소율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파프리카의 3차원 스캔 모델과 광 학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가상 환경 조건에서의 캐노피 수광과 광합성 분포를 분석할 수 있었으며, 이는 추후 다 양한 재배 조건에서 작물 수광량과 광합성 속도를 예측 하는 데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o estimate daily canopy photosynthesis, accurate estimation of canopy light interception according to a daily solar position is needed. However, this process needs a lot of cost, time, manpower, and difficulty when measuring manually. Various modeling approaches have been applied so far, but it was difficult to accurately estimate light interception by conventional method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light interception and photosynthetic rate of paprika with time by using 3D-scanned plant models and optical simulation. Structural models of greenhouse paprika were constructed with a portable 3D scanner.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canopy light interception by surrounding plants, the 3D paprika models were arranged at 1×1 and 9×9 isotropic forms with a distance of 60 cm between plants. The light interception was obtained by optical simulation, and the photosynthetic rate was calculated by a rectangular hyperbola model.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canopy light interception of the 3D paprika model showed different patterns with solar altitude at 9:00, 12:00, and 15:00. The total canopy light interception decreased with an increase of surrounding plants like an arrangement of 9×9, and the decreasing rate was lowest at 12:00. The canopy photosynthetic rate showed a similar tendency with the canopy light interception, but its decreasing rate was lower than that of the light interception due to the saturation of photosynthetic rate of upper leaves of the plants. In this study, by using the 3D-scanned plant model and optical simulation, it was possible to analyze the light interception and photosynthesis of plant canopy under various conditions, and it can be an effective way to estimate accurate light interception and photosynthesis of plants.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재배조건 및 3차원 모델 구축
    2. 3차원 모델 배치 및 광학 시뮬레이션
    3. 광합성 속도 계산
결과 및 고찰
    1. 캐노피 수광 분포 및 총 수광량
    2. 캐노피 광합성 분포 및 CO2 소모량
적 요
Literature Cited
저자
  • 강우현(서울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 Woo Hyun Kang (Department of Plant Science and Research Inst. of Agricultural and Life Sci., Seoul National University)
  • 황인하(서울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 Inha Hwang (Department of Plant Science and Research Inst. of Agricultural and Life Sci., Seoul National University)
  • 정대호(서울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 Dae Ho Jung (Department of Plant Science and Research Inst. of Agricultural and Life Sci.,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동필(서울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 Dongpil Kim (Department of Plant Science and Research Inst. of Agricultural and Life Sci.,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재우(서울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 Jaewoo Kim (Department of Plant Science and Research Inst. of Agricultural and Life Sci.,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진현(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 Jin Hyun Kim (Protected Horticultur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 박경섭(목포대학교 원예과학과) | Kyoung Sub Park (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Mokpo National University)
  • 손정익(서울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 Jung Eek Son (Department of Plant Science and Research Inst. of Agricultural and Life Sci., Seoul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