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탈유교사회 중국의 정치문화와 유학부흥 현상 KCI 등재

China’s Political Culture and Confucianism Reviva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444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융합인문학 (Korean Journal of Converging Humanities)
한국융합인문학회 (Korean Association of Converging Humanities)
초록

이 글은 G2(Group of Two)가 된 중국, 탈유교사회인 현대 중국에서 지식인들은 왜 유학담론을 이야기하며, 유학은 왜 부흥했는가에 대해 살펴보려고 한다. 21세기의 탈유교화된 중국 현대사회에서, 중국지식인들은 왜 100년 전에 그들이 폐기처분했던 공자와 유교문화를 신자본주의시 대인 21세기에 자신들의 새로운 ‘문명가치’로 내세우는가? 현대중국에서 유학은 왜 쇠락했는지, 21세기 오늘날의 중국에서 유학은 왜 다시 부흥하고 있는지, 이러한 ‘유학부흥 현상’을 가능하게 한 중국사회의 매커니즘은 무엇인지를 탐색해보고자 한다. 먼저 중국현대사에서 유학의 쇠락과정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첫째, 신문화운동 시기에 전통은 무엇 때문에 거부되었는지, 둘째, 문화 대혁명 시기에 공자는 왜 비판을 받았는지를 검토한다. 이 글은 특히 문화연구(Cultural Studies) 의 방법론으로 G2가 된 중국에서의 유학부흥 현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국가정책과 지식인의 유학담론, 경제발전과 공자학원의 설립, 대학과 당교(黨校)에서의 전통문화에 대한 교육이 제도권의 커리큘럼에 도입된 것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러한 탐색을 통하여 탈유교화된 중국 현 대 사회의 정치문화 상황과 21세기의 중국에서 유교문화의 부흥은 중국이 꿈꾸는 국가의 미래 상과의 관계는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y intellectuals in China today talk about the Confucian discourse and why Confucianism has been revived in China, which became the G2 (Group of Two), and in modern China, a De-confucian society. China, in the 21st century, is a De-confucian modern society, but why do Chinese intellectuals put forward Confucius and Confucian culture, which they disposed of 100 years ago, as their new ‘civilization value’ in the 21st century, a neo-capitalist era? This study is to explore why Confucianism has declined in modern China, why Confucianism is reviving in today's China in the 21st century, and what is the mechanism of Chinese society that has made this ‘Confucianism revival’ possible. Above all, we examined the decline process of Confucianism in modern Chinese history. We examine the following: First, why tradition was rejected during the May 4th Movement. Second, why Confucius was criticized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With a methodology of cultural studies, this paper has examined the phenomena of Confucianism revival in China, which became the G2. In particular, we examined the national policy, Confucian discourse of intellectuals, economic development and establishment of Confucius Institute and the introduction of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culture into institutional curriculum at universities and party schools. Through this exploration,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discovery of Confucian culture in China in the 21st century and the future image of the country in the 21st century that China dreams of in the politic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 de-Confucian modern Chinese society.

목차
요 약
I. 서 론
Ⅱ. 중국현대사에서 유학의 쇠락(衰落)
    1. 신문화운동과 전통의 거부
    2. 문화대혁명 시기의 공자에 대한 비판
Ⅲ. G2가 된 중국에서 유학의 부흥
    1. 국가정책과 지식인의 유학담론
    2. 경제발전과 공자학원의 설립
    3. 대학과 당교(黨校)에서의 전통문화에 대한 교육
Ⅳ.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명희(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 | KIM Myoung-Hee (Jeonju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