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건물의 내풍성능향상을 위한 다중거동 복합 감쇠장치 KCI 등재

Application of a Multi-action Hybrid Damper for Enhancing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Building Structures Subject to Wind Load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452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풍공학회지 (Journal of the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한국풍공학회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초록

본 연구에서는 풍하중을 받는 건물에 설치된 다중거동 복합 감쇠장치(MHD)의 성능을 평가하고, MHD 예비설계 절차를 제안하였다. MHD에 의해 증가된 등가감쇠비와 그에 따른 건축구조기준에 근거한 응답저감계수를 예상한 후, 풍하중 스펙트럼에 의해 생성된 풍하중을 사용하여 20층 철골구조물에 대한 시간이력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를 통해 얻어진 층변위 및 층간변위 평균 응답 감소율은 각각 0.585 및 0.525로, 이는 제안한 예비설계과정에서 추정된 응답감소계수 0.6과 거의 동일한 수치임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제안된 방법을 사용하여 MHD의 제어효과를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 of a multi-action hybrid damper (MHD) is evaluated for a building structure under wind loads and preliminary design procedure of the MHD is proposed. The equivalent damping ratio increased by the MHD and the corresponding response reduction factor based on the Korean Building Code were calculated. Nonlinear time histor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20 story steel structure subject to the wind load generated according to the wind load spectrum. The average response reduction ratios in the floor displacement and inter-story drift are, respectively, 0.585 and 0.525. The results are almost same value as the wind load reduction factor 0.596 estimated in the preliminary design, which implies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be effectively used for estimating the control effect of the MHD.

목차
Abstract
요 약
I. 서 론
II. 복합 감쇠장치의 소변형이력
III. 등가감쇠비를 이용한 복합 감쇠장치의 설계
    3.1 등가감쇠비 산정
    3.2 감쇠비에 따른 풍하중 저감계수 평가
    3.3 등가감쇠비에 따른 내풍설계절차
IV. 풍하중 설계예제
    4.1 구조개요
    4.2 등가감쇠비를 이용한 감쇠장치 설계
    4.3 비선형 동적시간이력해석을 통한 설계결과 확인
V. 결 론
참고문헌
저자
  • 이경훈(국민안전처 중앙119구조본부 기획협력과) | Lee Kyoung-Hun
  • 최현훈(㈜삼성물산 상품기술팀) | Choi Hyun-Hoon
  • 이상현(단국대학교 건축공학과) | Lee Sang-Hyun 교신저자
  • 우성식(현대종합건축설계사사무소 기술지원팀) | Woo Sung-Sik
  • 허무원(단국대학교 건축공학과) | Hur Moo-Won
  • 노지은(단국대학교 건축공학과) | Roh Ji-E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