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도심지 도로변의 골바람 효과에 의한 풍압할증의 특성 KCI 등재

Characteristics of Wind Pressure Increasement Caused by Funnel Effect in Urban Roadsid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452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풍공학회지 (Journal of the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한국풍공학회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초록

도시화로 인해 건축물이 고층화, 밀집화 되면서 건물간의 골바람 효과에 의해 외장재 탈락이나 파손 등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골바람 효과에 대한 이전의 연구들은 대부분 구조골조용 풍하중에 중점을 두어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도심지 골바람 효과에 의해 건축물 외장재의 풍압이 얼마나 증가되는지를 풍동실험을 실시하여 정량적으로 규명하였다. 예비실험을 통하여 골바람이 형성될 수 있는 도심지를 구성하였다. 본 실험을 통하여 형상비와 도로 폭이 변함에 따라 골바람효과에 의해 풍압이 증가하는 특성을 분석하였고, 건축물이 밀집 배치된 경우와 단독 배치된 경우로 나누어 골바람효과로 인한 풍압할증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형상비가 커질수록, 도로 폭이 좁아질수록 풍압은 증가하였다. 밀집배치된 건축물의 경우가 단독 배치된 경우에 비하여 풍압이 최대 약 1.8배 증 가하였다. 또한 골바람효과로 인한 풍압의 증가현상은 건물 측벽 전면 하단부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According to increasing construction of tall building in cities, damages of cladding on building surface caused by funneling effect between buildings are occurred frequently. Studies on funneling effect were focused on the wind loads of structural main fram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creasement of wind pressure on claddings caused by funneling effect between buildings in city through wind tunnel test. A city which may be occurred funneling effect was constructed by preliminary wind tunnel test. Characteristics of increasement of wind pressure by funneling effect were analyzed by the variation of the aspect ratio of building and the width of road. Also those were analyzed by the shape of building arrangement, such as a clustered buildings or a single building. It was found that wind pressures by funnel effect were increased when the aspect ratio of building is larger and the width of road was narrower. Wind pressures on the arrangement of a clustered buildings were larger about 1.8 than those of a single building. And the maximum wind pressure increasement by funneling effect was appeared to the frontal bottom area of side surface of building.

목차
Abstract
요 약
I. 서 론
II. 풍동실험
    2.1 풍동기류
    2.2 실험모형
    2.3 실험방법
    2.4 데이터 해석방법
    2.5 예비실험
III. 실험 결과 분석 및 고찰
    3.1 변수에 따른 피크부압계수(Cmin) 비교
    3.2 풍압할증계수
IV. 결 론
참고문헌
저자
  • 류혜진(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Ryu Hye-Jin
  • 김병조(금오공과대학교) | Kim Byung-Jo
  • 김효정(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Kim Hyo-Jung
  • 하영철(금오공과대학교 건축학부) | Ha Young-Cheol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