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반도 풍력자원지도 - 2010년판 KCI 등재

The 2010 Wind Resource Map of the Korean Peninsula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468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풍공학회지 (Journal of the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한국풍공학회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초록

국가 풍력자원지도는 풍력분야 정책·산업·연구섹터 전반에 걸쳐 핵심적 기반자료로서 활용된다. 그렇기 때문에 재생에너지 선진국에서는 지속적으로 국가 풍력자원지도의 시·공간해상도 및 연도별 갱신을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신 2010년도 한반도 풍력자원지도 갱신자료로부터 한반도의 평균풍속, 최대풍속, 계절별 풍속분포, 평균 풍력밀도, 풍속분포지수, 와이블 등급계수와 형상계수 등의 공간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해모수 해상풍황탑 설치지점과 영덕 풍력발전단지를 대조지점으로 선택하여 시계열 격자점 자료를 분석하였다.

The national wind resource map is used as fundamental and core information across the sectors of policy, business and research in the wind energy field. Therefore, all countries with advanced renewable energy continue to update the temporal and spatial resolutions of their national wind resource maps as well as perform annual updates. This paper analyzes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annual mean wind speed, maximum wind speed, seasonal mean wind speed, mean wind power density, wind profile exponent, Weibull shape and scale parameters from the recently updated 2010 wind resource map of the Korean Peninsular. In addition, time-series data are analyzed at HeMOSU offshore meteorological-tower and Youngduk Wind Farm by selecting them as contrast comparison locations.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 론
2. 자료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한반도 풍력자원 공간분석
    3.2 한반도 풍력자원 시계열분석
4. 결 론
참고문헌
저자
  • 강용혁(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신재생에너지연구부) | Kang Young-Heack
  • 김현구(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신재생에너지연구부) | Kim Hyun-Goo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