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풍속의 G.F.변화에 의한 지표면조도 분석(I) -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 KCI 등재

An Analysis of Ground Roughness Factor by Gust Factor Change of Wind Velocities (I) - For Korea Central Province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480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풍공학회지 (Journal of the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한국풍공학회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초록

풍속은 풍상측의 지형지물 등의 영향으로 같은 풍속이 불어올지라도 그 값이 많이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기상대 주변의 지형지물의 변화 즉 지표면 조도(노풍도)에 따라 측정되는 기상대 관측풍속은 많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기상대에서 관측되는 풍속은 이들을 보정하여 표준화 하여야만 건설 환경 등 많은 분야에서 설계 시에 사용 할 수 있다. 기상대에서 측정된 풍속은 측정소 주변의 지형지물에의 변화에 따라 그 풍속을 일정한 환경에서의 풍속으로 평활화(표준화) 할 필요가 있다. 기상대 풍속을 정확하게 평활화하기 위해서는 풍속 측정 당시의 지표면 조도를 알아야만 하나, 거의 대부분의 기상대에는 그 주변의 지표면 조도에 대한 과거 자료가 거의 전무한 실정에 있다. 일반적으로 Gust Factor(최대순간 풍속/평균풍속)는 지표면조도와 상관관계가 높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기상대풍속의 Daily Gust Factor를 사용하여 하여 년 평균G.F로 구하고, 이것을 토대로 각 기상대별 G.F. 및 지표면 조도를 구한다. 이 값에서 구한 최근의 조도와 실측(현장목측, 사진 및 지형도에 의한 분석)을 비교하여 이방법의 유효성을 검토했다.

Wind velocity must be maintained yearly because of the change of roughness of upward of the wind direction. Because of this, it is necessary to analyze ground roughness for wind velocity standardization. Therefore, this research will investigate the comparison and connection between ground roughness and G.F.(Gust Factor) as a result of urbanization and changing terrain.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study. For the wind standardization, it is necessary to know the ground roughness at the point of measurement, however, most of the meteorological stations do not have that data. Generally, G.F. has high relation with ground roughness. In this respect, this research is aimed to determine the Daily Gust Factor of the meteorological stations on a yearly basis and to compare the latest ground roughness with picture and geographical map analysis, and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o obtain the G.F. and and ground roughness of each meteorological station.

목차
Abstract
요 약
1.서 론
    1.1 연구목적
    1.2 지표면 조도(노풍도)의 내용
2. 분석의 개요
    2.1 분석대상지역 분류
    2.2 분석방법
3. 분석결과 및 고찰
    3.1 년도별 방향별 G.F. 및 지표면조도(노풍도)구분 결과
    3.2 실측(목측, 사진 및 지형도)에 의한 지표면조도 조사결과
    3.3 G.F.와 실측한 지표면조도(노풍도)구분 상관
4. 결 론
참고문헌
저자
  • 김영덕(관동대학교 보건환경위생학과) | Kim Young-Duk 교신저자
  • 윤덕영(관동대학교 환경공학과) | Yun Duk-Young
  • 최진영(관동대학교 환경공학과) | Choi Jin-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