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남부지방 단감원에서 미국선녀벌레의 분산 및 공간분포 분석 KCI 등재

Analysis for Dispersal and Spatial Pattern of Metcalfa pruinosa (Hemiptera: Flatidae) in Southern Sweet Persimmon Orchar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540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미국선녀벌레(Metcalfa pruinosa)는 2009년 국내에 최초로 보고된 이후 남부지역 단감 과원을 중심으로 다양한 농작물에 경제적 피해를 야기한다. 미국선녀벌레는 기주 범위가 넓고 다양하여 농경지뿐 아니라 산림지역에도 존재하여 과수원 인근 산림에서 농경지로 유입되는 개체로 인하여 효율적인 방제를 위한 시간적, 공간적 범위를 결정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투명 점착트랩을 이용하여 단감원에서 미국선녀벌 레의 발생 양상과 유입 및 유출 경향을 조사하였고, SADIE(Spatial Analysis by Distance Indices)를 사용하여 공간분포를 조사하였다. 또한 조사 시점간 공간분포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분포의 패턴의 변화하는 시점들을 확인하였다. 단감원에서 미국선녀벌레의 발생 최성기는 5월 중 순과 8월 중순으로 5월에는 약충이, 8월에는 성충이 발견되었다. 10월 이후에는 발견되지 않았다. 5월 중하순경 부화한 약충은 임의분포 하였으나 포장 외부로 분산한 후 집중 분포하는 패턴을 보였다. 성충은 다시 포장으로 유입된 후 임의분포하였다. 트랩 높이별 채집 정도는 약충기에는 상대적으로 아래쪽 트랩에서, 성충기에는 위쪽 트랩에서 많이 채집되었다. 이러한 경향성은 포장 내부와 주변부의 밀도 변화에서도 확인할 수 있 었고, 포장 내 단감에서의 미국선녀벌레 실제 밀도와도 매우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Since Metcalfa pruinosa was first reported in Koera, it has continually caused damage to sweet persimmon orchard in southern part of Korea. Metcafa pruinosa exist not only in farmland but also in forest areas, and are difficult to control due to the influx of individuals from near forest. M. pruinosa has been occurred in orchard and its surroundings because of various host range. Thus, it has been difficult to decide spatial range and control time for efficient management. In this study, occurrence and dispersal pattern of M. pruinosa in persimmon orchard were surveyed using clear sticky traps, and spatial patterns were analyzed with SADIE(Spatial Analysis by Distance IndicE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at sticky traps. Spatial association between survey time was also analyzed to identify when the spatial pattern changed. In sweet persimmon orchard, M. pruinosa mainly dispersed in mid to late May, when the first instar hatches, and in August, emerging season of adult. The first instar nymphs hatched in mid-May were randomly distributed in orchard, but distribution was changed to aggregative pattern after dispersed surroundings of orchard. Adults showed random distribution pattern after immigration to orchard again. These tendency was also observed in density change at orchard and its surroundings, and matched to actual density of M. pruinosa in sweet persimmon trees.

목차
ABSTRACT
초 록
재료 및 방법
    조사개요
    발생패턴 및 공간분포 분석
결과 및 고찰
    단감원 미국선녀벌레 발생 및 유출입 패턴
    미국선녀벌레 공간분포 패턴과 조사시점별 연관성
Literature Cited
저자
  • 박부용(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작물보호과) | Bueyong Park (Crop Protection Division, Department of Agri-Food Safety,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Corresponding author
  • 김민중(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명공학부) | Min-Jung Kim (Entomology program,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상구(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작물보호과) | Sang-Ku Lee (Crop Protection Division, Department of Agri-Food Safety,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 김길하(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의학과) | Gil-Hah Kim (Department of Plant Medicine, College of Agriculture, Life and Environment Scienc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