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 잡초벼인 완도앵미6의 식미관련 유용인자를 자포니카벼 품종에 도입하여 식미가 개선된 새로운 품종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육종연구로 수행되었다. 식미개선을 위하여 국내 자포니카 벼 품종인 화영과 윤기치가 우수한 국내 잡초 벼인 완도앵미6를 교배하여 재조합 자식계통을 육성하였으며 이 조합으로부터 고품질 품종 개발에 활용 가능한 우량계통을 육종에 이용하고자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화영과 완도앵미6 조합의 교배립을 생산하여 SSD법으로 8세대까지 계통전개 하였으며 초형 등을 고려하여 최종 224계 통의 RIL을 육성하였다. 2. 육성된 RIL집단의 주요 농업특성 특성을 3년(2016-2018) 간 평가하여 연차간 변이를 확인하였으며, 육성된 집단으로부터 작물학적 특성과 식미관련 특성이 우수한 10계통을 선발하였다. 3. 선발된 계통에 대한 아밀로스 함량, 단백질 함량, 알칼리 붕괴도 등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는데, 특히 선발된 계통 모두가 수여친인 완도앵미6의 수준에서 윤기치가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4. 식미와 관련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밥의 질감과 관련하여 관능평가와 기계적 물성 측정값에 대한 비교에서 두 방법 간에 상관이 확인되지 않아 이에 대한 보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s the main objective of rice breeding programs, rice eating quality is one of critical factors directly determining the market price and the consumer preference. However, the genetic complexity of eating quality and the difficulty in accurate evaluation often constrain improvement of the eating quality in rice breeding programs. In addition, given that the rice eating quality of current cultivars has already reached some high-level, diversifying of genetic resources are demanded more than ever to improve the rice eating quality.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recombinant inbred lines (RILs) population derive from Wandoaengmi6, a japonica-type Korean weedy rice with high eating quality and a high degree of glossiness of cooked rice. Year-to-year correlations between the traits in three years were shown normal distribution for major agronomic trait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fter evaluating tested traits related to eating quality procedure, a total of ten lines were ultimately selected from the population. Increasement of the taste of cooked rice (TA) and the overall eating quality (OE) were confirmed in the selected lines, which are caused by alleles derived from Wandoaengmi6 without any linkage dra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utility of wide genomic resources in Korean landrace could be of application in various rice breeding programs and countermeasure to contribute to properly response to climate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