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2017~2018년 말레이즈 트랩을 이용한 남한 내 야생벌(벌목: 벌아목)의 시·공간별 출현 및 분포 현황 KCI 등재

Nationwid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Some Selected Aculeata (Hymenoptera) in South Korea, based on Materials Collected with Malaise Trap in 2017 and 2018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646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수분생태학(pollination ecology)의 주체인 화분매개곤충은 농업, 생물산업에 있어서 작물생산에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해서 매우 가치가 있는 곤충으로 인정되어 왔다. 생산되는 주요 작물의 약 70% 이상이 화분매개곤충의 수분(pollination)매 개활동에 의해 생산되는 것과 같이, 화분매개곤충의 존재는 인류에게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화분매개곤충 은 오랜 기간동안 변화하는 기후영향과 토지의 이용, 지형의 변화, 농작물 생산량 증대를 위한 농약 사용 등으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고 그 수가 매년 점차적으로 줄어들고 있어서 종 다양성에 대한 위험적 변화가 예상된다. 따라서 기후의 변화, 지형의 변화, 인간의 간섭에 따른 토지의 이용 등의 다양한 위험적인 요인들로부터 수분생태계 종 다양성 보존과 관리를 위하여 수분을 매개하는 야생벌의 분포에 대한 조사와 분석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2017년에서 2018년까지 전국 51개 조사지점에서 2주~한달 간격으로 말레이즈 트랩(ez-Malaise trap)을 사용하여 전국단위에서 출현하는 야생벌을 시기별, 공간별로 야생벌을 채집하였고, 채집된 꿀벌상과, 청벌상과 및 말벌상과를 대상으로 공간별, 시기별 출현현황을 분석하였다. 시기별로 전국단위로 출현한 야생벌은 정규분포 형태를 보이며 7월과 8월 사이에 크게 개체수가 증가하고 11월까지 출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공간적으로도 야생벌은 위도에 따라서 출현분포의 차이를 유의적 수준에서 확인하였으나, 경도에 대해서는 유의적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기후적 요인, 지형적 특성, 인간간섭에 따른 토지의 활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경우에 야생벌의 분포차이를 더욱 면밀히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의 연구로써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한 전국에 시기별, 공간별로 출현하는 야생벌의 분포를 통해서 향후 농업발전을 위한 화분매개관련 곤충 연구에서부터 나아가 수분생태계에서의 야생벌 종 다양성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ollinators, which are important organisms in pollination ecology, have been highly valued for their economic contributions to crop production in the agricultural and biotechnology industries. As the production of over 70% of farm products, such as fruits, are mediated by pollinators, bees are important and useful insects to humans. However, pollinators are now seriously threatened with their numbers decreasing annually and their biodiversity being negatively affected by ongoing climate change, misuse of land, change of geographical features, and use of pesticides to increase agricultural production. Thus, surveys and analyses of the emergence and distribution of wild bees are important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ractices designed to help them continue to play their ecological and agricultural roles despite negative pressures, such as climate and topography changes. We surveyed pollinators, especially wild bees, at 51 research sites in South Korea every two to four weeks for two years from 2017 to 2018 using ez-Malaise traps and analyzed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wild bees. The bees showed a normal temporal distribution that peaked between July and August. The bees’ working period lasted until November. The spatial distribution of wild bee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atitude, and different bees were identified depending on the local habitat.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for longitudinal distribution with regression analysis (p > 0.05), but this study identified locally specific wild bees. Although we could not predict significant distribution according to longitude, Further studies should be able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wild bees according to the climate, topography, and land-use patterns by human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pollinator distribution, which can be useful in agriculture and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biodiversity in South Korean pollination ecology.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결과 및 고찰
    1. 채집곤충 목별 현황 및 야생벌 종 분류(동정) 현황
    2. 시기 및 공간별 야생벌 분포
REFERENCES
저자
  • 유동수(국립생태원 기후변화연구팀,충남대학교 정보통계학과) | Dong Su Yu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Dept. of Information and Statistics, Chungnam Univ.)
  • 권오창(국립생태원 기후변화연구팀) | Oh-Chang Kwon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 김홍기(충남대학교 정보통계학과) | Honggie Kim (Dept. of Information and Statistics, Chungnam Univ.)
  • 김정규(용인대학교 생명과) | Jeong-Kyu Kim (Dept. of Biological Sciences, Yongin Univ.)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