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SNS 이미지를 활용한 한옥식음공간의 서비스스케이프와 디자인 요소 분석 - 인스타그램과 핀터레스트에 올려진 익선동 한옥카페 이미지 중심으로 - KCI 등재

An Analysis of Servicescape and Design Elements in Hanok Cafeteria Using SNS - Focusing on the image of Ikseon-dong Hanok Cafe on Instagram and Pinterest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6482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19.59.1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옥식음공간의 인테리어 디자인 기획 시 활용 될 수 있는 서비스스케이프 요인에 기반 한 디자인적 요소 제안을 목적으로, SNS상에 업로드 된 익선동 한옥 식음공간의 이미지들을 활용하여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를 통해 식음공간과 서비스스케이프에 대한 고찰을 실시하고, 식음공간의 서비스스케이프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이론고찰을 통해 도출된 서비스스케이프 요인을 기준으로 사례를 수집하였다. 사례 수집은 사용량이 많고 성장률이 높다고 조사된 두개의 매체에서 해시태그를 적용해 수집하였다. 173장의 이미지 중 이론고찰에서 도출된 서비스스케이프 요인에 해당하는 69장을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매력성 요인에 서 외관은 한옥의 모습을 많이 변형하지 않고 내부공간을 현대적으로 스타일링 한 사례가 많아 현대의 라이프스타일 속에 조화롭게 구성 된 한옥 식음공간을 소비자들이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입구는 나무소재 그리고 간판은 전등을 사용하는 디자인이 다수였으며, 한옥식음공간 방문 후 가장 많이 업로드하는 이미지의 공간이 입구와 간판이라는 것을 보았을 때, 입구공간에 대한 중요성을 밝힐 수 있었다. 공간성요인으로는 기와지붕이 보이는 테라스 공간, 정보성요인에서는 개별 메뉴판과 장식이 없는 카운터 디자인에 대한 선호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가 한옥식음공간을 기획 할 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with the aim of providing design elements based on service cable factors that can be used in planning interior design of Hanok caf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utilizing images of Ikseon-dong Hanok cafe were up-loaded on SNS. As a research method, a review of the food and beverage space and servicescape was conducted through a literature study, and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servicescape of the food and beverage space was investigated. Next, cases were collected based on the servicescape factors deriv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case collection was collected by applying hashtags to two media outlets that were found to have high usage and high growth rates. Among the 173 images collected, 69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cable factors derived from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Regarding attractiveness, there were many cases where the appearance of hanok was not altered much and the interior was styled modernly, indicating that consumers preferred hanok dining and drinking space harmoniously constructed within modern lifestyles. Wood were used a lot for The entrance and the many signboards were using electricity, and the most up-loaded space image after visiting the hanok-cafe was the entrance and signboard. Therefore, the importance of these space could be revealed. As for spatial factors, terrace spaces where tile roofs are visible, and information factors show that counter designs without individual menus and decorations are highly preferred.

목차
Abstract
국문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사례조사 및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김소희(서경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 Kim So Hee
  • 윤수인(서경대학교 디자인학부) | Yoon Su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