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화장품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애착, 브랜드 신뢰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태도의 매개효과 검증 KCI 등재

Effects of Cosmetics Brand Image, Brand Attachment, and Brand Trust on the Brand Loyalty: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s of Brand Attitud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6491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19.59.1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오프라인은 물론, 온라인에서 점점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화장품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화장품 회사들은 자신들만의 브랜드 전략과 홍보계획을 세우고 이를 위한 마케팅에 많은 비용과 시간을 투자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심층연구로서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애착, 브랜드 신뢰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브랜드 태도의 매개 역할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가설을 설정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애착, 브랜드 신뢰 모두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애착, 브랜드 신뢰는 브랜드 태도를 매개하여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관리 및 운용을 중요성을 인지하고 효율적인 브랜드 관리를 위한 제안으로 화장품 브랜드 연구에 대한 실증연구로써 화장품 브랜드 관리와 운용에 있어서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더불어 향후 연구에서는 브랜드와 관련한 다양한 변인들에 대한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As an empirical research on cosmetics brand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and operation of cosmetics brand,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s of brand image, brand attachment, and brand trust on the brand loyalty, and also the mediating roles of brand attitude in the relationships of them. After setting up hypotheses, they were verified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all the brand image, brand attachment, and brand trust had positive(+) effects on the brand loyalty. Second, the brand image, brand attachment, and brand trust had positive(+) effects on the brand loyalty with the mediation of brand attitude. The results of this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operation and management of cosmetics brand, and also suggest the necessity to establish the marketing strategies for practising them. Moreover, there should be follow-up researches on diverse variables related to cosmetics brand in the future.

목차
Abstract
국문요약
1. 서론
2.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
3.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4. 연구방법
5. 연구결과
6.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저자
  • 장성복(청주대학교 디지털미디어디자인전공) | Chang Sung Bok
  • 이귀정(해브앤비주식회사) | Lee Kwi Jeong